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 안전보안관들이 5~6월 두 달간 도로와 보행 안전을 위한 집중 점검 활동을 시작한다. 도로패임, 불법현수막, 개인형 이동장치(PM) 등 위험 요소를 신속히 발견하고 즉시 신고하는 방식으로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 나선다.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 도시’ 정책의 일환으로, 안전보안관들이 쾌적한 보행환경을 만들기 위한 활동을 강화한다. 집중신고기간 동안 안전보안관들은 도로와 인도를 점검하며 ▲개인형 이동장치(PM) ▲불법주정차 ▲불법현수막 ▲도로 파임 등 도로시설물 파손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위험 요소를 발견하면, 안전신문고 앱을 통해 신속하게 신고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안전보안관은 2018년 결성된 민간 안전 예방 단체로, 현재 344명이 활동 중이다. 이들은 지역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활 주변의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공익신고 활동을 통해 안전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로와 보행로의 위험 요소를 철저히 점검하고, 시민들의 보행 안전을 보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안전보안관들은 또 ‘7대 안전무시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7대 안전무시 관행에는 ▲불법 주정차 ▲비상구 폐쇄 및 물건 적치 ▲과속 운전 ▲안전띠 미착용 ▲건설현장 보호구 미착용 ▲등산 시 화기·인화물질 소지 ▲구명조끼 미착용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광주시는 안전보안관들의 활동을 통해 3003건의 안전무시 신고를 포함해 총 2만9215건의 안전위반행위 신고와 78회의 안전점검 활동을 진행했다. 이러한 활동은 시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부호 안전정책관은 “안전보안관들과 함께 시민들이 안전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겠다”며, “생활 주변의 위험 요소를 하나하나 점검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더욱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