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장성군이 군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감시·소통 체계를 강화하며 ‘신뢰 행정’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군은 최근 청렴군민감사관과 군민고충처리위원회를 동시에 위촉하는 합동 위촉식을 열고, 행정의 투명성과 군민 권익 보호를 위한 새로운 민관 협력 구조를 가동했다.
청렴군민감사관은 군정 전반을 감시하는 ‘군민 감찰관’ 역할을 맡는다.
공직자의 부조리·비위 제보, 위법·부당 행정에 대한 감사 청구, 군정 정책 모니터링까지 수행하며, 민원인이 직접 해결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서는 적극 개입해 도울 수 있다.
표면적인 감시 역할을 넘어 행정 방향에 대한 제언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 행정의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
군민고충처리위원회는 그보다 한 단계 더 현장에 밀착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갈등 조정과 제도 개선 권고 권한이 주어져, 고충 민원의 해결 과정에서 ‘행정의 답장’에 머무르지 않고 ‘제도 자체를 손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는 민원인의 문제 해결뿐 아니라 재발 방지와 행정 신뢰 회복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사후 관리 구조로 이어진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이제 군정의 기준은 ‘행정이 생각하는 관점’이 아니라 ‘군민이 체감하는 관점’이 되어야 한다”며 “행정을 감시하고 조언하는 군민이 늘어날수록 장성은 신뢰받는 군정으로 한 발 더 다가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위촉은 민원이 생긴 뒤 처리하는 구조가 아니라, 부조리와 불신이 발생하기 전에 군민이 참여해 예방하는 시스템을 마련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장성군은 올해부터 ‘군민 참여형 점검제’, ‘현장 대응형 민원 캐치 시스템’ 등 군민 참여 기반 행정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번 청렴감사관·고충처리위원회의 출범은 그 전략의 정점이라 평가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감찰기구를 늘린 것이 아니라, 행정 전반을 군민이 직간접적으로 ‘함께 설계’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