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NH투자증권의 투자은행(IB) 부문이 미공개정보 유출 의혹으로 신뢰 위기에 직면했다. 핵심 사업인 공개매수(TOB)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해왔지만, 이번 사건으로 수임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업계에서 제기된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 IB 부문 고위 임원이 최근 2년간 일부 공개매수 관련 정보를 주변인에게 전달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조사 과정에서 약 20억 원 규모의 부당이익 발생 가능성도 함께 점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NH투자증권은 그간 공개매수 시장에서 독보적 점유율을 유지했다. 올해 발표된 공개매수 15건 중 11건을 NH투자증권이 담당하며 점유율 70%를 넘겼다. 그러나 이번 사건 이후 기업과 PEF를 중심으로 “NH를 계속 대리인으로 선정하기 어렵다”는 기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업계 한 대형 PEF 관계자는 “공개매수는 정보보안이 곧 거래 성패를 좌우하는 분야”라며 “보안 위반 사고가 발생한 증권사를 선택할 경우 내부 책임 문제가 확대될 수 있어 자연스럽게 다른 증권사를 검토하게 된다”고 말했다.
공개매수 대리인 이탈 조짐은 NH투자증권 IB 수익 구조에도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수임 이후 인수금융·브릿지론 등 연계 자금조달을 묶어 제공하며 수수료 외 부가 수익을 창출해왔다. 실제 비올·JTC·SK디앤디 거래에서 수백억 원대 추가 수익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쟁사들은 이미 NH투자증권의 공백을 노리고 움직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등은 모두 온라인 공개매수 청약 시스템을 갖춰 NH투자증권의 시장 지위를 대체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평가다.
NH투자증권은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다. 임원 국내주식 거래를 전면 금지하고, IB 부문 중심으로 별도 내부통제 TF를 가동했다. 다만 주식 거래 제한을 IB 전체 직원까지 확대하는 방안은 내부 반발로 시행되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윤병운 대표 체제의 관리·감독 책임을 묻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파두 IPO 소송, WM 부문 불완전판매 논란, 직원 개인의 정보 유출 사건 등이 연달아 발생하며 “IB 중심 성장 전략에 비해 통제 체계가 느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NH투자증권은 IB 부문이 전체 경쟁력의 기반인 만큼, 이번 신뢰 훼손의 여파가 길게 이어질 수 있다”며 “정보보안 사고는 IB에서 가장 심각한 리스크로, 빠른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