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삼성전자가 작년 4분기 6조5,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6조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30.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직전 분기인 작년 3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은 29.19% 줄어들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 7조7,096억원을 15.7% 밑돌았다. 증권가에서는 당초 작년 4분기 영업이익으로 10조 원 안팎까지 예상했다가 최근 전망치를 7조 원대까지 낮춰 잡았다.
작년 4분기 매출은 75조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65% 늘고 전 분기보다는 5.18% 줄었다.
실적 부진은 스마트폰, PC 등 전방 IT 수요 침체가 예상보다 깊어지면서 삼성전자가 주력인 레거시(범용) 메모리의 수익성 악화가 길어진 영향이 크다.
공급 과잉으로 메모리 가격이 가파르게 떨어지는 가운데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메모리 출하량과 판매 가격(ASP)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 열풍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는 탄탄하지만 삼성전자의 HBM 양산 일정이 늦어지면서 아직 HBM의 실적 기여도가 낮은 상황이다.
또 시스템LSI(설계)와 파운드리를 포함하는 비메모리 부문도 가동률 하락과 일회성 비용 반영 등에 적자를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실적 버팀목 역할을 해온 디스플레이와 모바일 부문 실적도 수요 부진과 경쟁 심화 등에 다소 둔화한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3조 원 안팎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사업부 영업이익 전망치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 2조 원 안팎, 디스플레이 1조 원 안팎, TV·가전 3,000억 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