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문채형 기자 | “사람이 먼저”라는 구호가 허공에 메아리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안전 철학이 또다시 그 실체를 드러냈다. 경기도 광명에서 발생한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는 단순한 불행이 아닌, 예견된 인재로 포스코의 안전 관리 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보여준다.

지난 11일 포스코이앤씨의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한 근로자가 매몰된 채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구조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장인화 회장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안전은 생산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그의 말은 이제 무책임한 공허함으로 남았다.
이번 사고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지난해 8월 인천 송도에서의 감전사고, 11월 송파구 보행로 붕괴, 올해 1월 김해에서의 추락사고 등 포스코이앤씨의 현장은 끊임없이 인명사고에 노출되어왔다. 이러한 사고들은 포스코의 안전 관리 시스템이 형식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한다.
사고 발생 하루 전, 터널 중앙 기둥의 심각한 파손이 인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스코이앤씨는 작업을 강행했다. 전문가들은 기둥 보강 작업이 아니라 구조적 조치가 필요했음을 지적하며, 안전을 우선시하기보다는 이윤을 추구하는 모습이 드러났다고 비판한다. 이미 감사원은 지반 약화를 경고했지만, 그 경고는 무시되었다.
장 회장은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서 “안전한 환경 속에서 업무를 마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그 약속은 이번 사고로 무너졌다. 반복되는 중대 재해는 포스코그룹의 안전 철학이 형해화되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포스코이앤씨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구호에 그쳤고, 실제 현장에서는 첨단 기술이 작동하지 않았다. “10대 안전 철칙”과 “ISO 45001 인증”은 종이 위의 문서에 불과했다. 수익성에만 집착한 경영은 결국 인명 피해를 초래했으며, 안전보다 수주에 방점이 찍힌 현실이 드러나고 있다.
장 회장의 침묵은 단순한 무책임이 아니다. 이는 반복되는 사고의 구조적 문제를 은폐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정희민 대표의 사과문은 언론의 압박에 의한 ‘소극적 해명’이라는 비판 속에 포스코그룹의 안전 관리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
이번 광명 사고는 단지 한 건의 인명 사고가 아니다. 이는 포스코그룹이 외쳐온 ‘사람이 먼저’라는 구호가 얼마나 공허했는지를 증명하는 사건이다. 장 회장은 더 이상 침묵해서는 안 된다. 그의 안전 철학이 진정한 실천으로 이어져야 하며, 사람의 생명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번 사고는 더 이상의 희생을 막기 위한 경고의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