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최근 3년간 도난범죄가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CTV와 AI 보안솔루션의 확산으로 범죄 시도 중 38.4%는 현장에서 포기됐다. 그러나 심야 시간대 무인점포를 노린 소액 생계형 절도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안 인프라 강화에 도난범죄 3년 새 33% 감소
보안 전문기업 에스원의 범죄예방연구소가 최근 3년간(2022~2024)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난범죄가 약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CTV, AI 기술 기반 보안솔루션 확대가 범죄 억제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에스원 측은 “CCTV 등 보안기술이 범죄 심리를 억제하고 있다”며 “도난 미수율이 전체의 38.4%에 달한다”고 밝혔다. 실제 범죄자들이 CCTV 확인 후 현장을 떠나거나, 보안업체의 출동을 감지하고 범행을 포기한 사례가 상당수였다.
AI CCTV로 '사전 예방'… 단순 기록 도구에서 '범죄 차단' 수단으로 진화
특히 에스원의 AI 기반 CCTV 솔루션인 SVMS(Smart Video Management System)는 2024년 기준 판매가 전년 대비 279% 증가하며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 CCTV가 사후 확인용에 그쳤다면, SVMS는 침입·난동·배회 등 이상행동을 실시간 감지해 경고 방송까지 자동 송출하며 범죄를 사전에 차단한다.
공공부문에서도 CCTV 확대가 뚜렷해 2024년 현재 전국적으로 176만 대 이상이 가동 중이다. 이는 10년 전 대비 120만 대 이상 증가한 수치다.

피해 금액 ‘100만원 미만’ 82%… 생계형 절도 여전히 기승
실제 범죄가 이뤄진 도난 피해 사례의 81.8%는 피해 금액이 100만원 미만인 소액 절도로 나타났다. 절도 대상은 주로 현금(79.8%)이었고, 담배와 식료품도 주요 표적이 됐다.
증거 확보의 어려움과 복잡한 보상 절차로 인해 피해자들은 보상 없이 손해를 감수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자영업자는 CCTV 화면을 출력해 매장에 부착하거나, 자체 제작한 경고문으로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보안업계는 일정 금액까지 피해를 보상하는 ‘도난 보상 서비스’를 도입해 소상공인 보호에 나서고 있다.

‘0시~6시’ 심야에 전체 도난 70% 발생… 무인점포 82%가 집중 표적
도난범죄 발생 시간대 중 심야(00~06시)는 전체의 70.6%를 차지했고, 특히 무인점포 범죄의 81.8%가 이 시간대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점포는 인건비 절감 등 효율성은 크지만, 상주 인력이 없어 범죄에 취약하다. 에스원 분석에 따르면 키오스크나 동전교환기를 강제로 열고 현금을 탈취하는 수법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카드 인증 출입 시스템, AI CCTV 및 원격 경고 방송 등 무인매장 특화 보안솔루션 도입이 확산 중이다.

에스원 “범죄 진화에 맞서 보안도 고도화돼야”
에스원 관계자는 “범죄 수법이 다양해지는 만큼 보안 기술도 지능화되고 있다”며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상황에 맞춘 맞춤형 보안솔루션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범죄 예방의 최선은 예방 인프라의 선제적 구축”이라며 “심야 영업점과 무인점포에 대한 공공 및 민간 차원의 보안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