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기록적인 폭우가 광주를 덮친 가운데,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김민석 국무총리를 향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공식 요청하며 대응의 전면에 나섰다.
강 시장은 20일 김 총리와 함께 북구 신안교와 용강동 하신마을 일대를 직접 살피며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실태를 보고하고, 반복되는 침수 피해에 대한 국가 차원의 항구적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다.
특히 강 시장은 “이곳 신안교는 5년 전에도 폭우로 큰 피해를 본 곳인데, 이번엔 한 분이 실종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며 “광주의 열악한 지방재정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뚜렷하다. 국가가 재정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을 둘러본 김 총리는 “정부는 현재 상황을 신속히 수습하고, 국민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 중”이라며 “현장에서 답을 찾고, 실정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날 두 사람은 신안교 인근 주민들과 대화를 나눈 뒤, 침수로 딸기 재배 농가 피해가 컸던 하신마을을 찾아 농경지와 주택 침수 현장을 차례로 점검했다.
광주는 지난 17일 하루 동안 426㎜의 비가 쏟아지며 기상관측 이래 일일 최다 강수량 기록을 세웠고, 19일까지 누적 강수량은 536㎜에 달했다. 도로, 주택, 차량, 농경지 등지에 걸쳐 피해가 속출했고, 광주시가 공식 집계한 피해 건수는 1,300건을 넘어선다.
강 시장은 집중호우 발생 직후 유촌교, 농성지하차도, 태평교, 신안교, 하신마을 등 주요 피해 지역을 연이어 방문하며 대응을 진두지휘했다. 광주시는 이재민 구호물품 지원은 물론, 임시 대피소 운영과 응급복구, 방역 활동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과 위생관리도 병행해 피해 주민들이 더 큰 고통을 겪지 않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복되는 침수와 기후위기 앞에, 이제 광주는 단기적 복구를 넘어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강 시장의 요청이 정부의 신속한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