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창희 기자 | 진입도로 미확보로 논란이 된 '힐스테이트 용인포레' 사태가 오는 23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 국정감사의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사업 보증 과정에서의 HUG 책임론과 함께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힐스테이트 용인포레'의 진입도로 미확보 문제가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재점화되고 있다.
16일 국회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23일 열리는 국토교통위원회 HUG 국정감사에서 해당 사업에 대한 보증 승인 과정과 사후 관리 부실 문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힐스테이트 용인포레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한 1950세대 규모의 기업형 민간임대주택이다. 애초 인접한 역삼지구의 도로를 이용하는 조건으로 사업이 승인됐으나, 역삼지구 개발이 지연되면서 자체 진입로 확보가 필요해졌다.
이에 용인시는 시민 공원 부지를 일부 절개해 임시도로를 개설했으나, 이는 인근 역삼지구 조합원과 시민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이들은 "공공의 자산을 사기업의 이익을 위해 훼손했다"라며 국회와 용인시청 등에서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논란의 중심에는 HUG의 수천억 원대 보증이 있다. 도로 등 핵심 기반 시설이 확보되지 않은 사업에 보증을 승인한 점, 사업 좌초 시 국민 세금으로 손실을 충당해야 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이 비판의 핵심이다.
현재 힐스테이트 용인포레는 우선공급 청약을 진행 중이지만, 교통영향평가, 하수 용량 문제 등 근본적인 인프라 논란은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국회는 HUG를 상대로 ▲사업성 평가 부실 여부 ▲보증 승인 과정의 적절성 ▲향후 리스크 관리 및 재발 방지 대책 등을 집중 질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