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영암군이 그려온 에너지 자립도시 구상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전남 전역이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서, 군이 추진해 온 RE100 산업단지와 에너지 기본소득 전략에 강한 추진력이 실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5일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전남·제주·부산·경기 4곳이 분산에너지 특구로 확정됐다. 당초 솔라시도 기업도시 중심으로 논의되던 전남 특구는 한 단계 확대돼, 도 전체가 특구 지위를 얻게 됐다. 영암군으로서는 지역 대부분이 해당 혜택권에 포함되며 정책 설계 폭이 넓어졌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말 그대로 전기를 ‘지역에서 만들고 지역에서 쓰는’ 구조다. 민간 발전사가 한전을 거치지 않고 가정·기업에 직접 전기를 판매할 수 있어, 장거리 송전망 비용 없이 더 합리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에너지 신기술 실증을 위한 규제 특례도 적용돼, 혁신 기업이 모여드는 조건이 갖춰진다.
영암군은 이번 지정을 계기로 AI 시대 전력 소비의 중심지로 성장할 가능성을 주목한다. 이미 오픈AI·SK 등이 영암·해남 솔라시도를 AI데이터센터 입지로 선택했고, 전남 전체 특구 지정이 확정되자 업계에서는 “전력 인프라 우위 지역”이라는 평가가 더해지고 있다. 전력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으로 각인되면서, 추가 기업 유치 가능성도 커졌다는 반응이다.
군이 추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은 삼호·미암 영암호 간척지에 주민참여형 태양광 단지를 조성해 생산 전력을 기업의 RE100 전환, 에너지 신도시 전력 공급에 활용하는 구상이다. 나아가 발전 이익을 지역사회와 공유해 에너지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군민에게 지급하는 체계도 준비 중이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이번 특구 지정으로 에너지산업 육성의 동력이 확실해졌다”며 삼호·미암 일대 2.1GW 규모 태양광 발전시설 구축을 통해 군민이 체감하는 에너지 전환 모델을 완성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착된다면, 영암군이 국내에서 가장 먼저 ‘에너지로 소득을 나누는 도시’를 실현할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