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직원들의 주민등록번호와 연봉, 인사고과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사내 공용 폴더를 통해 무단 노출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다. 노동조합은 이 폴더가 노조 집행부의 근무시간을 기록한 ‘사찰용 문서’까지 포함하고 있다며 회사 측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6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는 사내 공용 폴더에서 전 직원의 개인정보 파일이 접근 제한 없이 방치된 것을 확인했다. 파일에는 직원들의 주민등록번호, 학력, 주소, 연봉, 고과 등 민감한 자료가 담겨 있었으며, 사내 누구나 접근 가능한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즉시 이 사실을 회사 측에 통보했지만, 폴더가 얼마나 오랜 기간 노출됐는지, 실제로 몇 차례 열람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사측은 곧바로 접근을 차단했지만, 노조는 “사측이 오히려 노조 컴퓨터를 원격 차단하고 회수를 시도했다”며 반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개인정보 유출은 아니다”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 내부 서버 이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추정되지만, 사측이 사건의 본질을 회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논란은 ‘사찰 의혹’으로 번졌다. 노조가 확인한 파일 중에는 ‘NJ(노조) 리스트’라는 제목의 문서가 포함돼 있었으며, 여기에는 노조 집행부의 출퇴근 기록과 외출시간, 피트니스 이용시간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돼 있었다고 한다. “사외 체류시간 휴게시간 미반영” 같은 문구도 적혀 있어, 노조는 “노조 간부의 근무태도를 문제 삼아 징계나 급여 삭감을 시도하려 한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파일에는 직원 1,200여 명의 명단과 함께 ‘통상임금 소송 참여 여부’ 항목이 표시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들은 명절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노조는 “회사가 소송 참여 여부를 인사고과에 반영하려는 목적이 아니었는지 의심된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내부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관련 사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단순한 관리 부실을 넘어 조직적인 개인정보 관리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감독당국의 조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