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는 내년도 예산안을 7조6823억 원 규모로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7조6043억 원)보다 780억 원(1.0%) 증가한 규모다. 시는 ‘민생 안정과 혁신 성장’을 위한 성장재정을 기본 기조로 세우고, 경상경비 절감 등 효율적 재정운용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예산안은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 함께 행복한 광주’를 핵심 방향으로 설정하고 △민생활력 △혁신성장 △상생돌봄 △기후회복 등 4개 분야에 중점 투자를 담았다.
민생활력 분야에서는 서민경제 회복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방점을 뒀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자금 75억5000만 원, 노란우산 장려금 10억 원, 상생카드 발행 지원 410억 원 등을 편성해 지역 상권의 재도약을 지원한다. 또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해 경영안정자금 50억 원, 구조고도화자금 400억 원, 수출진흥자금 30억 원을 투입한다.
청년층 주거·일자리 지원도 강화된다. 청년월세 79억6000만 원,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5억 원, 구직활동수당 50억 원, 일경험드림 77억 원 등 실질적 지원책이 반영됐다.
혁신성장 분야에서는 첨단전략산업 육성과 창업 생태계 조성에 집중했다.
AI 2단계 AX실증밸리 73억 원, 미래차 전장핵심부품 개발지원플랫폼 6억 원, 차세대 배전망 테스트베드 10억 원 등을 통해 미래형 산업 기반을 다진다.
또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 103억 원, 그린스타트업타운 41억9000만 원, 예비창업가 발굴육성 15억 원 등 창업지원 인프라 확대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RISE 체계 구축(879억4000만 원)과 글로컬대학 육성(338억 원) 등 지역 인재 양성사업도 추진한다.
상생돌봄 분야에는 인구위기 대응과 전 생애 복지체계 강화가 담겼다.
손자녀가족돌보미(8억 원), 다태아 출산축하금(1억6000만 원), 출생가정축하 상생카드(20억 원) 등 출산·돌봄 지원이 확대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74억3000만 원), 광주형 평생주택 건립(122억9000만 원) 사업을 통해 복지 인프라를 확충한다.
기후회복 분야에서는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전환을 이어간다.
G-패스 환급서비스(77억 원)로 시민의 친환경 이동을 장려하고,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15억 원), 우수저류시설(55억 원), 취약지역 주거개선(64억7000만 원) 등을 통해 안전한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
광주시는 업무추진비, 사무관리비, 행사·축제성 경비를 절감하고 부진사업 구조조정 등 세출 효율화에도 나선다.
이병철 시 기획조정실장은 “경기 회복이 더디지만 시 재정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되도록 운영하겠다”며 “AI,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