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자 교통 현안이던 호남고속도로 확장 공사가 본격 궤도에 오른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광주 현안 예산이 대거 반영되면서다.
광주광역시는 이번 정부 추경을 통해 호남고속도로 동광주~광산IC 구간 확장사업 예산 183억 원이 복원됐으며,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광주상생카드 지원 예산도 확보됐다고 5일 밝혔다.
정부 추경은 침체된 내수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목적에서 편성됐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교통 인프라 개선과 민생경제 회복이라는 두 축을 동시에 겨냥하며 발 빠르게 대응해왔다.
특히 이번 추경에서 호남고속도로 예산이 살아난 배경에는 강기정 시장의 전략적 행보가 한몫했다. 강 시장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앞둔 지난 1일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 시민토론회’를 열어 사업의 필요성을 공론화했다.
토론회에는 지역주민과 시·구의원, 전문가, 관계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으며, 시민들은 “수십 년째 반복된 교통 정체를 이제는 끝내야 한다”며 강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같은 여론을 등에 업은 강기정 시장과 지역 정치권은 국회 및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예산 복원에 성공했고, 시는 연내 착공을 목표로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공사가 완료되면 현재 4차선인 동광주~광산IC 구간은 6~8차선으로 확장되며, 상습 병목현상 완화는 물론 제2순환도로와의 연결성도 한층 강화된다. 새로 개설되는 용봉IC는 광역교통의 흐름을 유연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망 확장만이 아니다. 이번 추경에는 시민 생활과 직결된 민생경제 예산도 빠짐없이 포함됐다. 소득 수준에 따라 1인당 15만~50만 원까지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기존 8%였던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을 최대 13%까지 높이는 광주상생카드 예산이 그것이다.
광주시는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거쳐 해당 예산을 신속히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광주시는 지난달부터 ‘골목경제 상황실’을 가동해 시청과 산하 공공기관이 지역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1:1로 매칭, 장보기·식사 등 일상 소비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공공배달앱 활성화와 같은 소상공인 지원책도 함께 병행되고 있다.
이런 현장 중심의 민생 밀착형 활동과 이번 추경 예산이 맞물리면 지역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는 데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추경은 교통망 개선과 민생경제 회복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시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더 나은 교통 환경과 활력 있는 골목경제, 그리고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