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 광산구(구청장 박병규)는 12일 광산구 지역경제활력센터에서 ‘제3기 인권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관련 사업부서 공무원과 인권위원회, 시민 등 50여 명이 참석해 최종 보고를 청취하고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광산구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과 상생으로 모두를 포용하는 지속가능 인권도시 광산’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존중, 안전, 포용,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고, △안전한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 △존중받는 인권보장 도시 구현 △포용과 화합의 인권문화 확산 △인권친화적 행정체계 강화 등 4대 정책 목표를 설정했다.
세부적으로는 15개 추진과제와 78개 사업을 마련했다. 우선 안전친화적 환경 조성 분야에서는 취약계층 기후위기 적응체계 강화, 찾아가는 기후위기 시민교육, 군 소음 피해보상,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 디지털 미디어 피해 청소년 지원 등 19개 사업을 추진한다.
인권보장 도시 구현 분야에는 아동친화도시 사업, 청(소)년층 가족부양 지원체계 강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아이돌봄 지원, 성평등 공동체 확산 등 39개 사업이 포함됐다.
인권문화 확산 분야에서는 공무원 인권교육, 아동권리 교육 및 홍보, 다문화·상호문화 존중 교육 등 12개 사업을, 인권도시 위상 제고 분야에서는 인권센터 설치 및 운영 활성화, 광산구 인권 지킴이 운영, 인권정책 기본계획 연차별 성과평가 등 8개 사업을 제안했다.
광산구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기본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인권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광산구 관계자는 “광산구만의 특성을 반영한 목표와 전략을 마련해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인권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