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형 마이크로그리드, 아프리카·중앙아시아 전력혁신 이끈다

  • 등록 2025.09.13 22:30:08
크게보기

- 세네갈 농촌 에너지자립 로드맵 구축, 주민 삶의 질 향상 기대
- 키르기스스탄 소수력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설계 착수
- 국제협력 통해 전남형 K-GRID 글로벌 확산 발판 마련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가 추진하는 ‘전남형 마이크로그리드’가 본격적으로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로 뻗어나가고 있다.

 

도는 최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선정된 두 건의 국제 프로젝트와 관련해 지난 11일 전남테크노파크에서 킥오프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실행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남도와 전남테크노파크, 한전KDN, 동신대학교, 렉스이노베이션㈜, 아이오티플러스㈜, 광주국제개발협력센터 등 에너지 분야 유관기관이 대거 참석해 협력체계를 공고히 했다.

 

첫 번째 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공공협력사업으로, ‘세네갈 농촌 개발을 위한 에너지자립 역량강화 로드맵 구축’이다. 전력공기업인 한전KDN이 주관하고 동신대학교, 전남테크노파크, 아이오티플러스㈜가 협력기관으로 나선다.

 

특히 세네갈 파나에 지역 농촌 공동체의 전력 수요를 진단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방안을 마련해 단계별 종합 로드맵을 수립한다. 전력 공급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과 주민 생활 개선까지 염두에 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두 번째 사업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지식공유프로그램(KSP)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에너지밸리 벤처기업인 렉스이노베이션㈜이 단독으로 수행하는 이번 사업은 키르기스스탄 키치케민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소수력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가상발전소(VPP)를 통합한 온사이트형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설계하고, 제도 개선과 실증 연계 자문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이는 현지의 전력 불안정을 해소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공적개발원조 사업은 도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전남의 에너지 기술력을 국제사회에 알릴 중요한 계기”라며 “재생에너지 정책과 차세대 분산 전력망 기술을 세계와 공유하면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이번 두 건의 사업 외에도 국제협력 경험을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다. 지난해 KOICA 기획사업에 이어 2025년 시범사업에도 선정돼 ‘키르기스스탄 전력계통 안정화·효율화를 위한 분산전원제어 시스템 구축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상세기획사업을 통해 ‘탄자니아 잔지바르 운구자섬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정부가 최근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K-GRID) 구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분산 전력망 기술과 실증 경험을 축적한 전남도가 핵심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해외 프로젝트는 ‘전남형 마이크로그리드’ 실증기술을 해외 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후속사업 확장과 연계를 통해 ‘전남형 K-GRID’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도는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전남테크노파크) ▲해외 진출 역량강화(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 ▲국제에너지포럼·IURC(녹색에너지연구원) 등 다양한 국제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도내 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지속적인 행보는 전남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동시에, 지역기업들이 세계 무대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김정훈 기자 jhk7111@naver.com
Copyright @G.ECONOMY(지이코노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언남5길 8(양재동, 설빌딩) 2층 | 대표전화 : 02-417-0030 | 팩스 : 02-417-9965 지이코노미(주) G.ECONOMY / 골프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52989 서울, 아52559 | 등록(발행)일 : 2020-04-03 | 발행인·편집인 : 강영자, 회장 : 이성용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방제일) G.ECONOMY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2 G.ECONOMY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olf0030@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