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영암군이 지역 역사와 문화를 담은 중요한 자료를 공개했다. 바로 '영암의 땅이름'이라는 책이다. 이 책은 단순한 지명집을 넘어서, 영암군의 11개 읍·면과 121개 법정리, 자연마을의 유래와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작품이다. 영암군은 이 책을 이달 말까지 지역사회에 배포할 예정이며,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영암군 홈페이지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영암군과 영암문화원, (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이 협력해 발간한 이 책은 2006년에 발간된 '靈巖의 땅이름'을 수정하고 보완한 것이다. 512페이지에 달하는 대작으로, 국배판(210X297) 크기에서 활자 크기를 키워 읽기 편하도록 제작되었다. 책에는 영암군의 역사적 배경과 산천, 문화유산은 물론, 각 읍·면의 지명과 그에 얽힌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각 읍·면과 마을의 전경, 주요 시설, 그리고 문화유산이 사진과 함께 소개된다는 점이다. 조사위원들은 실제로 마을을 방문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많은 이야기를 되새기며 그 속에 담긴 역사와 의미를 정리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책에는 단순한 지명 나열이 아닌, 각 지역의 살아있는 이야기와 문화가 담겨 있다.
특히 영암읍부터 미암면까지 11개 읍·면의 땅이름을 하나하나 풀어낸 부분은 지역 주민들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줄 것이다. 영암군 문화예술과 김진중 과장은 "이번 책이 영암의 가치를 잘 알리고, 더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조사위원들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이 책은 영암군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소중한 자료로, 주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줄 것이다. 영암군은 이를 보완해 지명 검색 기능을 강화하며, 지역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