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청년이 떠나는 도시 아닌 머무는 도시를 꿈꾼다. 한세대학교와 군포시가 청년정책의 구호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대학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지역 청년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군포시청서 업무협약식 개최… 진로·취업·청년공간 등 5개 분야 협력 약속
한세대학교(총장 백인자)와 군포시(시장 하은호)가 23일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대학과 지자체의 본격적인 협력의 물꼬를 텄다. 양 기관은 ▲청년정책 공동 발굴 및 홍보 ▲청년공간 및 활동 지원 ▲청년 행사 및 네트워크 구축 ▲취·창업 지원 ▲기타 청년정책 전반에 대한 협력을 약속했다.
한세대, 청년 진로·취업 상담 확대… 지역 청년 대상 프로그램도 강화
한세대는 고용노동부의 지원을 받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재학생뿐 아니라 지역 청년들의 진로 탐색과 취업 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군포시청과 함께하는 청년정책 서포터즈’를 출범시켜 청년정책 홍보 및 참여 기반을 확대할 방침이다. 향후에는 취업박람회, 미취업자 특화 프로그램, 이동 상담실 운영 등 다양한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군포시 “정책 시너지 기대… 청년이 행복한 도시 만들겠다” 강조
하은호 군포시장은 “작년 청년공간 플라잉 조성에 이어 이번 협약을 통해 실질적 정책 실행력을 확보하게 됐다”며, “한세대의 청년 특화 프로그램과의 협력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 기대를 표했다. 또한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 차원에서도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세대학교는 올해 설립 72주년을 맞아 ‘SOAR 전략’을 토대로 영성 중심의 융복합 혁신대학을 지향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SOAR 전략의 'R(Social Values)' 영역 실현의 일환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 청년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상생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청년이 머무는 도시’라는 구호가 과연 현실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지역과 대학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