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의료 인공지능 기업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 322510]가 자체 개발한 뇌졸중 분석 솔루션 ‘JLK-CTL’이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높은 성능을 입증하며 응급 뇌졸중 진단의 혁신을 예고했다. SCI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이번 연구 결과는 신속한 환자 선별과 예후 예측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뇌졸중 치료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제이엘케이는 534명의 급성 뇌졸중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다기관 임상 연구를 통해 JLK-CTL의 성능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해당 솔루션은 대혈관 폐색(LVO)을 85.9%(AUC 0.859)의 정확도로 예측하며 민감도 78.7%, 특이도 83.2%라는 우수한 지표를 기록했다.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Stroke: Vascular and Interventional Neurology 최신호에 실렸다.
기존 응급실 표준 검사인 비조영 CT(NCCT)는 접근성은 높지만 미세한 변화를 판독하기 어려워 대혈관 폐색 진단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JLK-CTL은 조영제 없이 촬영한 CT 영상을 AI가 수 초 내로 분석해 LVO 가능성을 점수화(JLK-CTL LVO Score)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신속히 혈관조영술 등 추가 검사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고 즉각적인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JLK-CTL 점수가 높을수록 뇌경색 부피가 크고 환자의 장기적 예후가 나쁘다는 상관관계도 확인됐다. 단순한 진단 보조를 넘어 환자의 회복 가능성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셈이다. 연구 책임자인 정종원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혈관 영상 촬영이 지연되는 응급 상황에서 AI의 조기 스크리닝은 환자 예후 개선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뇌졸중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 322510]는 이번 연구 성과가 다양한 제조사의 CT 장비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보였다는 점에서 기술의 범용성과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류위선 CMO는 “숙련된 판독 인력이 부족한 의료 환경에서도 ‘골든타임’을 지키는 핵심 도구가 될 것”이라며, “FDA, CE 등 글로벌 인허가를 조속히 추진해 세계 시장에 AI 기반 뇌졸중 솔루션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