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대신증권이 발행하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의 신용등급이 ‘AA-(안정적)’로 평가됐다. 한국신용평가는 대신증권이 투자중개 중심의 안정적 사업 구조를 갖춘 중형 금융투자사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빠르게 확대된 부동산 금융 익스포져가 향후 신용도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30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대신증권은 3조 원 이상의 자본을 기반으로 투자중개 부문에서 강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3년 평균 영업순수익 커버리지는 182%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다. 자회사 배당수익과 IB 부문 확대로 이익 기반도 다각화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관련 위험 노출 규모가 신용도 유지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올해 6월 말 기준 대신증권의 부동산 금융 익스포져는 자기자본의 79%에 달했으며, 이 중 절반이 해외 자산이다. 브릿지론 비중은 26%, 중·후순위 대출은 67%로 위험 수준이 높은 편이다. 유동화 채무보증 잔액도 3조5500억 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96%까지 확대됐고, 요주의이하자산은 4496억 원으로 늘었다. 충당금은 1739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잠재적 손실 위험을 충분히 흡수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재무지표는 비교적 양호하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조정 레버리지는 6.4배, 조정 영업용순자본비율은 211.3%로 무난한 수준이다. 다만 순자본비율은 674.3%로 대형 증권사 평균(1792%)에 크게 못 미쳤다. 본사 사옥 매각,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자본적정성을 관리하고 있으나 일회성 요인에 의존하는 자본 확충은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적도 일시적 요인의 영향이 컸다. 상반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3552억 원, 순이익은 46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이는 본사 사옥 매각과 자회사 배당 수익 반영에 따른 효과였다. 연결 기준 순이익은 1521억 원으로 줄어 본업에서의 실적 개선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김예일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투자중개 기반의 안정성과 양호한 수익성은 강점이지만, 부동산 금융 익스포져 확대와 충당금 부담은 관리가 필요한 과제”라며 “재무안정성과 리스크 관리 능력이 향후 신용등급 유지의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