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원재료 가격 인상을 빌미로 가격을 올리고도 실제로는 원가를 조작해 세금을 탈루한 식품업체와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무더기로 국세청의 세무조사에 적발됐다.

국세청은 25일 가공식품 제조·판매업체, 농축수산물 유통업체,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예식·장례업체 등 55곳을 조사한 결과 총 8,000억 원 규모의 탈세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추석을 앞두고 생활물가와 직결된 업종을 겨냥한 단속이다.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 A사는 원재료 가격이 올랐다는 이유로 커피값을 10% 이상 올렸지만, 실제로는 사주 가족 회사로부터 비싼 원재료를 들여와 가맹점에 부담을 떠넘겼다. 광고비를 본사가 전액 부담한 것처럼 장부를 꾸미고, 인테리어 업체에서 받은 알선 수수료를 신고하지 않는 방식으로도 탈세했다.
가공식품업체 C사는 임원과 가족을 인력공급업체 직원으로 둔갑시켜 월급을 받아가는 수법을 썼고, 사주 소유 토지 개발비를 회사 자금으로 처리했다.
농산물 유통업체 D사는 산지 가격 인상을 명분으로 농산물 가격을 올린 뒤, 현금 결제와 차명계좌를 활용해 매출을 누락했다. 일부 사주 일가는 회사 자금을 이용해 고급 아파트, 스포츠카, 요트 등을 사들인 사실도 드러났다.
조사 결과, 가공식품업체 12곳 중 8곳이 최근 가격을 10% 이상 올렸고, 외식 프랜차이즈 14곳 중 10곳도 같은 방식이었다. 예식·장례업체들은 평균 15~20%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 유통업체들은 농어민과의 직거래에서 증빙이 필요 없는 점을 악용했고, 예식·장례업체들은 현금 결제를 유도해 매출을 빼돌렸다.
민주원 국세청 조사국장은 “사주 일가의 불법적 거래 행태를 금융 추적까지 동원해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며 “국민 생활물가와 직결된 업종의 불법 탈세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