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전남도의회를 향해 던진 메시지는 단순한 촉구문이 아니라, ‘호남 공동체가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에 가까웠다.
광주시는 4일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조속히 의결해 달라”며 전남도의회에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광주시의회가 지난 10월 24일 규약안을 최종 통과시키며 절차적 준비를 마친 만큼, 이제 공은 전남도의회로 넘어갔다는 판단이다. 시는 이를 “초광역 협력에 대한 시민 기대가 분명히 확인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시는 수도권 집중 심화와 지방소멸 위험을 언급하며 더는 지역 단위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짚었다. 광주·전남이 하나의 경제·생활권으로 묶여야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논리다.
시는 “특별광역연합 출범은 행정구역의 틀을 넓히는 문제가 아니라, 호남의 활로를 여는 실질적 선택”이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5극3특 전략’을 거론했다. 중앙과의 정책 연결고리를 확보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인 만큼, 망설일 이유가 없다는 취지다.
이와 함께 광주시는 전남도의회가 규약안을 아직 상정하지 않은 현실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역 간 이견과 셈법이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이 적잖지만, 시는 “논의가 길어지면 연내 출범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호남권이 다시 한번 한 발 늦었다는 평가를 듣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부 조율에만 매달리다 시기를 놓쳤던 과거 사례를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시 관계자는 “상호 신뢰와 연대 의식 없이는 초광역 체제가 설 자리가 없다”며 “지역의 이해관계를 잠시 내려놓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전남도의회가 규약안을 의결해 준다면 행정 절차 마무리와 조직 설계, 사업 방향 논의를 속도감 있게 이어갈 수 있다”며 협력 의지를 재차 밝혔다.
광주시는 끝으로 “호남이 더 늦기 전에 움직여야 한다”며 전남도, 전남도의회와 함께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만들어가겠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