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목포시가 주거 환경 전반의 체질을 살피는 점검에 나선다. 정비사업의 투명성과 속도, 그리고 노후 공동주택의 안전 관리 수준을 한꺼번에 들여다보는 일정이다. “집”은 생활의 근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점검은 행정 절차 점검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먼저, 11월 10일부터 21일까지 열흘간 주택공급팀이 관내 재건축·재개발 조합 5곳을 차례로 방문한다. 대상은 용해지구 재건축 2곳((구)용해, 용해2단지), 용해3단지 재개발, 서산온금 재정비촉진지구, 북항차관주택지구다.
이번 점검에서는 조합 회의 운영 방식, 회계 처리, 규약 준수 여부 등 ‘운영의 기본기’를 확인하는 한편, 사업 추진 속도, 보상 및 이주 현황, 주민 갈등 여부, 민원 발생 양상까지 폭넓게 살피게 된다. 정비사업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잡음이 생기기 쉬운 만큼, 초반 관리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 노후 아파트의 안전 문제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른 제3종시설물 공동주택 정기안전점검이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다.
점검 대상은 총 6개 단지 19개동으로, 금장아파트 11개동, 달성아파트, 시민아파트(가·나동), 목일상가아파트, 산정연립주택, 구 용해아파트 3개동이 포함됐다. 이 중 일부는 D~E등급 판정을 받았던 곳으로, 노후도와 안전 취약 우려가 높아 세심한 진단이 요구된다.
점검은 국토교통부 지정 안전진단 전문기관이 맡는다. 외관 균열, 누수, 구조부재 노후 상태 점검은 물론, 계측장비를 활용한 구조 안전성 분석, 위험요인 평가까지 이어진다. 점검 결과에 따라 보수·보강, 정밀안전진단, 관리 강화 등 후속 조치가 검토될 전망이다.
윤주명 목포시 건축행정과장은 “정비사업은 주민의 재산과 생활이 걸린 사안인 만큼, 절차와 운영의 투명성을 꼼꼼하게 살펴보겠다”며 “노후 공동주택 안전점검도 현장 중심으로 진행해, 필요한 부분은 즉시 조치될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정비사업의 공정성과 공동주택 안전은 시민 일상의 신뢰와 맞닿아 있는 영역이다. 이번 점검이 행정 점검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의 민심과 제도 개선까지 잇는 출발점이 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