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땅 정비부터 해역 관리·먹거리 환경까지… 지역 기반을 다지는 ‘3중 변화’

  • 등록 2025.11.18 17:52:47
크게보기

- 오랜 숙원 풀린 지적재조사 주민 재산권 안정 기반 다져
- 인공어초와 종자 방류로 되살아나는 다이아몬드 해역
- 상인·행정 함께 만든 ‘깨끗한 먹거리 거리’로 관광 활력 높여

 

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신안군이 지상과 해역, 생활 현장을 아우르는 여러 가지 정비 사업을 연달아 완성하며 지역의 토지 가치, 수산자원 회복, 관광·상권 환경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의 성과, 다이아몬드 해역의 인공어초 투하, 뻘낙지 음식특화거리 환경정화까지 이어지는 변화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추진됐지만, 그 중심에는 ‘신안군의 공간을 새롭게 다듬고 주민 삶에 실질적 변화를 만들겠다’는 일관된 방향성이 흐른다.

 

신안군은 2025년 지적재조사 지구 중 자은 구영지구와 안좌 사치지구 1,202필지(926천㎡)에 대한 경계점 표지 설치를 마무리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경계 조정에 그치지 않고, 100여 년 전 일제 강점기 시기에 만들어진 ‘구 지적도’의 오류를 바로잡는 국가적 사업이다. 특히 섬 지역은 측량 기준점 부족, 도서 특유의 지형, 바닷물 침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적도와 실제 지형 사이의 불일치가 오랜 기간 누적되어 왔다.

 

그동안 주민들은 건축 인허가, 재산권 행사, 농어촌 정비사업 진행 과정에서도 ‘어디까지가 내 땅인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실질적인 불편이 컸다. 마을 단위의 토지 경계 갈등 또한 적지 않았다. 이번 경계점 표지 설치는 이같은 문제를 줄이고, 토지 이용의 기준점을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까지 신안군은 자은 백산지구를 포함한 34개 지구, 총 1만5337필지의 재조사를 완료했다. 특히 흑산·가거도와 같은 도서 지역은 지형적으로 측량 자체가 어려워 오랫동안 정확한 공간정보 확보가 쉽지 않았으나, 이번 재조사로 정밀 측량을 위한 기초 데이터가 축적되어 향후 개발·보전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도 큰 기반이 됐다.

 

민원봉사과는 이번 성과가 ‘행정 절차의 정비’ 수준을 넘어, 마을 내 맹지를 해소하고 주민 재산권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실질적 변화라고 보고 있다.

 

바다에서는 더욱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 중인 수산자원 조성 사업이 힘을 받으며 해역 전반이 새롭게 변하고 있다. 신안군은 지난 12일 다이아몬드 해역에 올해 마지막 인공어초 123개를 투하했다. 9월 투하분 68개까지 더하면 올해만 191개가 설치된 셈이다.

 

다이아몬드 해역은 신안군의 대표적인 어장 중 하나로, 수온·지형·조류 흐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어류 서식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곳이다. 그러나 기후변화 영향, 어장 노후화, 과거의 난개발 등으로 서식 기반이 약화되면서 수산자원이 매년 감소해 왔다. 이 때문에 군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90억 원을 투입해 산란·서식장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공어초는 구조물을 넘어, 어류의 은신처가 되고 해조류가 부착해 새로운 생태가 형성되는 ‘바다의 숲’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투하된 인공어초는 1,095개에 이르며, 여기에 조피볼락·쥐노래미·감성돔·전복·해삼 등 총 218만 마리의 종자 방류가 더해지며 바다 생태계가 서서히 회복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군은 인공어초와 종자 방류가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낚시 관광객의 유입이 늘고, 어업인 소득도 덩달아 증가하는 구조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사이 신안 해역을 찾는 레저낚시객이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해양수산부 공모를 향한 준비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군은 2026년 볼락류 산란장 조성 기본계획(사업비 50억 원)을 마련해놓았고, 공모 일정이 나오는 대로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생활 현장에서는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섬 뻘낙지 음식특화거리’를 중심으로 상권 환경 개선이 추진되고 있다. 신안군은 상인회와 함께 이날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해 거리 전반의 위생·청결 수준을 높였다.

 

이 활동은 최근 군과 상인회 간 간담회에서 제기된 민원과 상생 논의를 기반으로 시작됐다. 상인들은 불법 주차, 쓰레기 배출, 관광객 유입 감소 등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공유했고, 군은 상권 활성화를 위해 행정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 첫걸음이 바로 환경정화 활동이었다.

 

이번 활동은 거리 청소에 그치지 않고, 상인들이 스스로 거리의 이미지를 가꾸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자리이기도 했다. 한 영업주는 “손님이 다시 찾게 하려면 음식 맛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거리 자체가 깨끗하고 안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군은 향후 상인회를 중심으로 정기적인 정화 활동을 이어가고, 음식거리 홍보 강화, 특색 메뉴 발굴, 방문객 편의시설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광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번 세 가지 사업은 분야는 다르지만, 지역의 기본 토대를 차근차근 다듬어 주민이 체감할 변화를 이루겠다는 신안군의 행정 기조가 공통으로 나타난다.

 

토지 분야에서는 정확한 경계 확정을 통해 재산권을 보호하고 활용도를 높였고, 해역에서는 생태 복원을 중심으로 어민 소득의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마련하고 있다. 거리 환경은 관광객이 다시 찾고 싶은 공간으로 개선되며 지역 상권의 활력이 강화되고 있다.

 

신안군은 앞으로도 지적 정비, 해역 복원, 관광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행정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신안군 전체의 공간적·경제적 가치를 안정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오명숙 기자 oms0610@nate.com
Copyright @G.ECONOMY(지이코노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언남5길 8(양재동, 설빌딩) 2층 | 대표전화 : 02-417-0030 | 팩스 : 02-417-9965 지이코노미(주) G.ECONOMY / 골프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52989 서울, 아52559 | 등록(발행)일 : 2020-04-03 | 발행인·편집인 : 강영자, 회장 : 이성용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방제일) G.ECONOMY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2 G.ECONOMY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olf0030@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