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저축은행 중금리대출 금리가 일부 구간에서 일반 신용대출보다 낮게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대출 공급은 오히려 빠르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3분기 저축은행의 민간 중금리대출 신규 취급액은 2조582억원으로 전 분기(3조1593억원) 대비 35% 감소했다. 취급 건수도 24만2425건에서 19만4231건으로 줄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더 낮은 상품의 수요·공급이 늘어나는 것이 시장 논리지만, 중금리대출은 반대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설정한 금리상한(약 16%)으로 인해 가격 조정 폭이 제한된 가운데, 저축은행의 조달비용 상승과 PF·자영업자 연체 증가로 충당금 부담이 커지면서다.
반면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조달 환경 악화가 반영되며 두 자릿수 중반에서 법정 최고금리(20%) 수준까지 상승했다. 중금리는 정책상 금리 인상에 제약이 있고, 일반대출은 시장 위험을 반영해 상승하면서 두 상품 간 금리 역전 구간이 생긴 것이다.
그러나 금리 역전에도 중금리대출 공급은 확대되지 않고 있다. 가계대출 총량규제, ‘연소득 이내 대출’ 규제 등으로 자본 부담이 커지면서 저축은행이 중금리 취급을 기피하고 있어서다. 특히 신용점수 600점 이하 차주 대상 중금리 상품 ‘사잇돌2’를 취급하는 저축은행은 2분기 7곳에서 3분기 1곳으로 급감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금리는 금리상한 때문에 리스크를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반면 일반대출은 금리로 조정이 가능하다”며 “위험 대비 금리가 맞지 않는 구간이 생기면 금융사는 중금리를 보수적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중금리대출 제도 전반에 대한 재점검 필요성이 제기된다. 금리상한, 총량규제, 충당금 부담이 동시에 작용하며 금리는 낮지만 접근성은 더 떨어지는 구조가 심화되고 있다는 이유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중금리가 제도 취지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시장 왜곡 구간이 늘고 있다”며 “정책과 시장환경 간 충돌이 지속되면 중저신용자 부담이 오히려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