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청 전경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 순천시청에서 발생한 직장 내 괴롭힘 논란은 단순히 한 사람의 문제로 치부하기엔 너무나 많은 질문을 남긴다. 노관규 순천시장이 경찰 소환 조사를 받게 되면서 이 사건은 지역 정치의 한가운데로 불쑥 들어왔다. 공직 사회에서 권력 남용의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그 자체로 큰 충격이지만, 이번 사건은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단어가 불러오는 이미지,상급자의 부당한 지시와 권위적 태도는 단지 개인의 고통을 넘어, 조직 내에서 어떤 힘의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문제의 서기관은 자신이 직면한 부당함을 참을 수 없어 고소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퇴직 강요와 징계 시도의 압박을 주장하며, 자신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세상에 드러낸 것이다. 그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는 단순한 개인의 갈등이 아니라, 공직자의 직권 남용과 직장 내 권력 관계에서 벌어지는 심각한 문제를 시사한다.
반면, 노 시장은 자신이 취한 인사 조치가 법과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라며, 직장 내 괴롭힘을 부인하고 있다. 여러 차례 경고를 했지만 개선되지 않았다는 주장 속에는, 이 사건이 단순히 한 사람의 불만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과연 그렇게 단순한 문제일까? 괴롭힘과 직권 남용의 경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리고 그 경계를 넘었을 때, 피해자는 그 피해를 제기할 권리가 있다.
이번 사건을 바라보며, 우리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권력의 불균형이다. 고위 공직자들이 자신의 위치를 남용하여 부당한 권력을 행사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공정한 사회의 기반을 만드는 일이다. ‘괴롭힘’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관리자의 실수나 잘못된 조치에서 끝나지 않는다. 그 이면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결국, 이번 사건이 중요한 이유는 단지 한 사람의 갈등을 넘어, 공직 사회 내에서 권력이 어떻게 행사되고, 그 권력이 어떻게 남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노 시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법과 절차대로 해결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그 법과 절차가 사람을 보호하는 장치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기자는 이번 사건이 순천시를 넘어, 공직 사회의 신뢰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결국, 모든 사람들이 공정하게 대우받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