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CONOMY 김대진 편집국장] 작녀 보험 사기 적발금액은 8천809억 원, 적발인원은 9만2천538명으로 적발금액과 인원이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8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한해 보험 사기 적발건을 살펴본 결과 매일 평균 24억원, 254명이 보험 사기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총 적발 금액은 8천809억 원으로 2018년 7천982억 원에 비해 827억 원(10.4%) 증가했다,
적발 인원도 9만2천538명으로 전년 7만9천 명에 비해 1만3천359명(16.9%) 늘어났다.
적발 건 중 82%가 1인당 평균 적발금이 950만 원 미만으로, 소액 보험사기로 드러났다. 100만 원 이하 29.4%, 300만 원 이하 58.0%, 500만 원 이하 71.7%, 1천만 원 이하 83.9%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상해나 질병, 자동차 사고 등의 피해를 과장하거나 사실을 왜곡해 보험금을 청구하는 '생계형 보험사기'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보험 사기 적발 비중을 연령대별로 따져보면 40~50대가 가장 높았다. 40~50대의 적발 비중은 46.7%였다. 60대 이상 고령층 보험사기도 늘어났다. 2017년 1만1천899명이었던 60대 이상 고령층 보험사기는 2019년 1만7천450명으로 5천551명(46.6%) 증가했다.
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남자가 67.2%(6만2천204명), 여자가 32.8%(3만334명)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자동차 보험사기 적발인원이 4만3천263명으로, 여자 1만238명에 비해 4.2배(3만3천25명) 많은 데 따른 것이다.
보험사기 보험 종목은 손해보험을 이용한 사기가 91.1%(8천25억 원)을 차지했고 생명보험은 8.9%(785억 원)으로 집계됐다.
손해보험 중 상해·질병 보험상품을 활용한 사기가 증가세를 보였다. 2018년 3천541억 원이었던 상해 및 질병 활용 사기는 2019년 4천53억 원으로 512억 원(14.4%)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기로 인한 민영 보험, 건강 보험의 재정 누수 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 기관과 건강보험공단 등과 긴밀히 공조해 보험사기 조사를 강화하겠다"며 "적극적인 제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