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산업재해 현장을 직접 찾았다. 사고 책임을 묻고, 근로환경을 따졌으며, “노동자의 목숨값은 월급과 다르다”고 일갈했다.

25일,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노동자 사망사고가 발생한 SPC삼립 시화공장을 전격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허영인 SPC그룹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에게 총 42개의 질문을 쏟아내며 강도 높은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대통령의 현장 질책은 전례 없이 구체적이고 직설적이었다.
특히 대통령은 “한 달 월급 300만 원 받는 노동자라고 해서 그 목숨값이 300만 원은 아니다”며 “산업 현장이 여전히 선진국답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자신 역시 산업재해 피해자 출신임을 밝히며, “죽음으로 내몰리는 노동 현실을 바꾸는 데 국가가 직접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주 4일·12시간 심야 교대근무, 충분하지 않은 휴게시간, 추가수당 지급 여부 등을 집중 추궁했다. SPC 측이 밤 7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의 근무 체제를 설명하자, 이 대통령은 “노동법상 가능한지 의심된다”며 “12시간 중 4시간에 대해 150% 수당을 지급하고 있는지”를 따져 물었다. 이어 “모르면 모른다고 하세요”라며 SPC 측 관계자의 모호한 답변을 질책하기도 했다.
현장에는 김영환 고용노동부 장관도 동행했다. 이 대통령은 “심야 장시간 노동이 사고 원인으로 보인다”며 “고용부는 특공대처럼 불시에 실시간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단순한 재발방지 수준이 아니라, 정부 차원의 강도 높은 노동환경 점검 체계를 예고한 셈이다.
같은 날 오후, 이 대통령은 부산으로 이동해 타운홀 미팅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해양수산부와 산하기관, 관련 공공기관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며 지역 균형발전 구상을 강조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과 함께 연단에 오른 이 대통령은 “연내 해수부 이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올 수 있다”는 장관의 답을 이끌어냈고, 현장은 박수로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북극항로 개방 등 기후변화 속 부산의 전략적 가치가 커지고 있다”며 “부울경은 항만·물류 산업을 중심으로 세계적 해양경제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의 수도권 중심 일극 집중전략은 한계에 달했다”며 균형 발전을 ‘국가 생존 전략’으로 격상시키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현장 방문과 발언은 노동 안전과 지역 균형발전, 두 축 모두에서 이 대통령 특유의 직설 화법과 추진력을 드러낸 일정이었다. 그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공정한 노동과 균형 있는 국토 발전, 말이 아닌 실행으로 증명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