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확대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정부와 지자체 지원 사업 참여 기반을 넓혀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구상이다.
광주시는 9월 현재 총 480곳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해 전국 최다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전체 1083곳의 44%에 해당하며, 수도권 전체 상점가 수(312곳)보다 많은 수치다. 앞서 7월에는 5개 자치구와 12개 기관·단체가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두 달 만에 261곳을 새로 지정하는 성과를 올렸다.
확대를 위해 광주시는 각 자치구에 현장 지원단을 배치, 상인들의 신청부터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까지 밀착 지원했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정부와 지자체의 각종 지원사업 참여가 가능해지며,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을 통한 매출 증대도 기대된다. 광주지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두 달 만에 67% 늘어난 2만1798곳에 달했다.
광주시는 여기에 소비자 혜택을 더 확대하고 있다. 11월부터는 광주 지역 가맹점에서 온누리상품권 결제 시 소비액의 5%를 환급하는 자체 환급 행사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을 7%에서 13%로 상향 조정해 개인당 월 최대 6만5000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특별재난지역에서는 추가 캐시백도 제공한다.
또한 공공배달앱 할인쿠폰을 대폭 늘려 음식점 업종 매출 회복을 돕고 있으며, 소상공인 금융지원 차원에서 총 1700억 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시행 중이다. 업체당 최대 5000만 원 대출이 가능하며 1년간 3~4%의 이자가 지원된다.
시와 공공기관도 골목상권과 1대 1로 매칭돼 직접 소비촉진 활동에 나서고 있다. 지정된 상권의 식당을 월 2회 이상 이용하거나 장보기를 실천하는 등 일상적 소비문화로 확산시키려는 것이다.
주재희 경제창업국장은 “골목상권은 시민의 삶과 직결된 민생 현장”이라며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정책으로 골목경제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