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창희 기자 | 국민연대와 시민단체들이 19일 경기도 용인시 죽전테라스앤139의 토지신탁사인 교보자산신탁을 규탄하며 광화문 교보생명 본사와 신논현 교보자산신탁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근철 국민연대 대표는 "현장에서 15대 1 집단 폭행이 교보의 윤리경영인가"라며 "책임준공을 내세운 신탁사가 유치권자 폭행의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죽전테라스앤139는 2021년 분양 당시 139세대가 모두 완판됐지만, 시공사 동광건설이 재무 악화로 법정관리에 들어가며 준공이 지연됐다. 일부 세대에서는 부실공사 하자가 드러나 입주조차 불가능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 과정에서 유치권이 행사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월에는 신탁사 직원 3명과 용역 50여 명이 단지에 진입해 관리시설을 점거한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폭행 논란은 지난 13일 정점에 달했다. 법원이 인정한 유치권 공간에서 용역 직원이 잠복해 있다가 배달 음식을 받기 위해 문이 열린 순간 난입해 여러 명이 한 명을 폭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후 피해자를 끌어내며 "교보신탁에서 왔다"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피해자는 하반신 전치 3주, 치아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었다.
19일 집회 현장에 나온 시행사 ㈜보정PJT 서우영 부회장은 "공사비 부족분 98억 원을 추가 차입해 분양자의 안전한 입주를 돕고자 했지만 준공 지연과 부실 시공이 발생했다"며 "신탁사는 준공허가만을 이유로 책임을 피하고 지연 보상도 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부회장은 "8월 단지 장악 당시 투입된 용역 50여 명의 비용 10억 원 역시 교보 자금이 아닌 수분양자의 계약금과 중도금이 들어 있는 신탁계정에서 집행됐다"며 "경찰이 즉각 수사해 사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했다.
교보자산신탁은 시행사가 동의 없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해 불법 점유가 발생했다며 책임을 부인했다. 또 사업 정상화를 위해 약 250억 원을 투입해 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집단 폭행 의혹과 관련해서는 "직원들도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만 밝히며 구체적인 해명은 내놓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