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CONOMY 김대진 편집국장] 지난해 보험사들이 벌어들인 수익이 10년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적자 폭이 커진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영업 위축과 저금리까지 겹치면서 앞으로 수익성에도 악화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내 보험사들의 순이익이 5조3천367억원을 기록했다고 3월 1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6.8%(1조9천496억원) 줄어든 수치로, 2009년(3조9천963억원) 이후 가장 작다.
보험사들의 수익성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쁜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의미다.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순익은 2조2천227억원으로 전년 대비 31.7% 급감했다.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분야에서 손실이 커진 탓이다.
생명보험사의 순익도 3조1천1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8% 감소했다. 금리하락으로 인한 보증준비금 증가 등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
보험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떨어졌다.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 0.45%와 4.41%다. 전년 대비 각 0.19%포인트, 2.25%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수입보험료는 212조7천604억원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저축성보험이 줄어드는 가운데 보장성보험이 늘었고, 퇴직연금보험이 크게 증가한 동안 변액보험은 감소했다.
보험사의 총자산은 1천238조9천169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7.2% 증가했다.
보험사들의 수익성이 급속히 악화하자 금융당국 역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저성장·저출산·저금리의 3중고에 직면한 경영상황에서 최근 코로나19로 영업 위축이 심각하다.
유례없는 초저금리 국면까지 전개됨에 따라 보험사들의 투자수익률은 더 악화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금감원은 보험사들이 과열 경쟁을 지양하고 내실 있는 경영을 추구할 수 있도록 감독·검사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