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KB증권이 '투자마스터즈 2025' 실전투자대회를 열고 거액의 상금과 경품을 내걸었다. 그러나 증권사가 직접 거래금액 기준의 순위 경쟁을 유도하는 방식은 지나친 수익률 경쟁과 무리한 매매를 부추긴다는 우려도 제기된
‘챌린지’부터 ‘챔피언’까지… 투자금 따라 리그 나뉘는 구조
KB증권은 4월 14일부터 6월 6일까지 8주간 ‘투자마스터즈 2025’ 실전투자대회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참가 자격은 국내 거주 개인고객으로, KB증권 계좌 보유자가 대상이다. 대회는 국내리그와 해외리그로 나뉘며, 투자자는 양쪽 리그에 동시 참가할 수 있다.
투자금 규모에 따라 100만원 이상의 '챌린지 리그'와 5천만원 이상 '챔피언 리그'로 구분되며, 기준 금액 미달 시 참가가 제한된다.
수익률 상위자에 억대 상금… “과도한 투기 조장” 지적도
리그별 상금 규모는 챔피언 리그 1위에게 1억원, 챌린지 리그 1위에게는 5천만원이 주어진다. 국내와 해외 리그를 동시에 석권할 경우 최대 2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 총 상금은 4억 8천만원에 이른다.
그러나 투자자 간 수익률 순위를 매겨 보상을 차등 지급하는 구조는 “과도한 매매를 유도하고, 단기 수익에 집착하게 만든다”는 전문가의 비판도 나온다.
매일 ‘럭키박스’, 거래왕 선정… 경품 앞세운 참여 유도
상금 외에도 다양한 부가 이벤트가 마련됐다. 참가자는 매일 추첨을 통해 ▲배달의민족 상품권 ▲치킨세트 ▲신세계상품권 ▲스타벅스 커피 등을 받을 수 있다. 최대 914명이 매일 당첨된다.
또한 거래금액 상위 투자자에게는 ‘거래왕’ 타이틀과 함께 별도 보상이 주어지며, 주식 거래금액 50억원 이상인 참가자에게는 총 1천만원이 균등 분배된다. 해외주식 거래는 1.5배로 인정된다.
'투자 경험' 명분… 실상은 고객 매매 유도 수단?
KB증권 측은 이번 대회에 대해 “투자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국내외 주식 거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실적 압박을 받는 증권사가 고객의 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에 불과하다"는 냉소적 시선도 존재한다.
대회 신청은 5월 16일까지 KB증권 MTS ‘마블’, HTS ‘헤이블’, 홈페이지 등을 통해 가능하다. 신청 후 계좌나 필명 변경은 불가하며, 투자에 따른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