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미국의 대(對)한국 수입품 관세 인상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전남 철강·석유화학 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4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강관 제조업체 ㈜픽슨을 찾아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조치는 한국산 철강 제품에 10% 기본관세와 15% 상호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내용으로, 5일부터 기본관세가, 9일부터 상호관세가 각각 적용된다.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철강·석유화학 업계는 수출 감소와 가격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현장에서 “철강·석유화학산업은 전남 경제의 핵심 산업이자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정부 차원의 대미 협상 강화를 촉구하고, 도 차원의 지원책을 마련해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소(공급)산업을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하고,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지원을 정부에 강력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2022년 기준)를 차지하며,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남 전체 수출의 17.9%(2024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탈탄소 전환 가속화,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 확산 등으로 경쟁력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까지 겹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전남도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민관합동 비상경제 대책 회의를 열어 ▲기업 경영 애로 해소 ▲세제 및 수출금융 지원 ▲생산비용 절감 방안 ▲내수판매 촉진책 ▲정부 지원 대책 마련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수출구조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연간 2천만 톤 이상의 철강을 생산하는 세계적 철강 생산시설로, 지속 가능한 철강 생산을 목표로 저탄소 생산체제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와 중국 저가 철강 제품 확산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도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미 협상 추진과 함께 자체적인 피해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