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2·29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피해자 치유와 지역 공동체 회복,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본격적인 논의의 장이 됐다.
이날 회의에는 김민석 국무총리(위원장)를 비롯해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미경 민간위원장, 7개 관계부처 장관, 유가족 대표 김유진 씨 등 총 20명이 참석했다. 위원회는 ▲지원·추모위원회 및 자문단 운영계획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피해자 종합지원대책 ▲세부지원계획 등 4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민간전문가 자문단은 항공, 법률, 세무 등 8개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돼 유가족 질의에 대한 전문적 자문을 제공하고, 설명회 등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 역할을 맡는다.
회의에서는 특히 참사로 직격탄을 맞은 지역경제 회복 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여행업계와 지역 상권 지원, 문화·관광 회복 사업 등 13건, 총 1,300억 원 규모의 경제활성화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피해자 지원을 위한 생활·특별지원금, 의료비 지원, 근로자 치유휴직, 법률지원, 미성년 피해자 보호대책 등이 의결됐다.
김영록 지사는 “생계안정과 심리·의료 지원 등 유족이 바라는 부분이 최대한 반영돼 신속히 시행되길 바란다”며 “전남도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무안국제공항 폐쇄로 여행업계 피해가 심각하다”며 “타공항 이용 교통비 국비지원과 재개항 로드맵 공개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또 “이미 조사가 완료된 방위각 시설은 별도 발표를 통해 유가족이 납득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이번 회의가 피해자 치유와 공동체 회복, 지역 재도약의 의미 있는 시작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원·추모위원회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운영되며, 피해자 지원과 추모사업, 관련 재단 설립 등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