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당신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습니다. 지금 바로 현금을 인출해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전달하세요."
검사를 사칭한 한 통의 전화. 그 전화를 받은 피해자는 불안에 떨며 7천만 원의 현금을 인출하려 했다. 하지만 범인의 계획은 마지막 순간, 무안경찰서와 금융기관의 ‘빠른 손’에 가로막혔다.
무안경찰서 남악지구대(대장 정옥헌)는 21일, 최근 발생한 보이스피싱 시도를 금융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사전에 차단하고 피해를 막았다고 밝혔다. 사건은 지난 17일 발생했다.
당시 피해자는 "귀하의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돼 수사 중"이라는 전화를 받았다. 이어 상대방은 자신을 '금융감독원 계좌추적과장'이라며 현금을 특정 장소에 전달하라고 요구했다. 피해자는 지시에 따라 목포시의 한 은행에서 무려 6,000만 원의 현금을 인출한 뒤, 나머지 1,000만 원도 준비하려 했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바로 이 순간, 평소 경찰과 연계된 ‘다액 인출 통보제도’가 빛을 발했다. 고객의 이상한 반응과 고액 현금 인출을 눈치챈 은행 직원이 즉시 경찰에 통보했고, 남악지구대 소속 경찰관이 빠르게 현장에 도착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범은 심리적으로 압박해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며, 실제 검찰이나 금감원을 사칭해 현금을 직접 전달받으려는 수법을 쓴다"며 "실제 수사기관이 현금을 요구하는 경우는 절대 없으니 유사 상황 발생 시 반드시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피해자는 극적으로 피해를 면한 후 “내 인생의 전 재산이 날아갈 뻔했다”며 경찰과 은행 직원에게 연신 감사 인사를 전했다.
한편 무안경찰서는 금융기관과 협력해 다액 인출 시 자동으로 통보받는 시스템을 지속 운영하고 있으며, 고령자나 금융사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예방 홍보도 꾸준히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