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SK브로드밴드가 한국전력기술에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전용회선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면서, 국내 양자암호통신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이는 국내 첫 상용화 사례로, 향후 공공 및 민간 영역의 양자보안 시장 확산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PQC 전용회선 첫 수주…국내 양자암호통신 상용화 신호탄
SK브로드밴드는 26일 한국전력기술에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반 전용회선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상용서비스 출시 이후 첫 수주 사례로, 국내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실제 사업으로 적용된 첫 번째 사례다.
이번 구축으로 SK브로드밴드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실험적 단계에서 벗어나 상용화 궤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며,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소프트웨어 기반 PQC, 실용성 앞세워 보안 해법 제시
양자암호통신은 크게 두 가지 기술로 나뉜다. 하나는 양자키분배(QKD)로, 양자역학의 물리적 특성을 활용한 하드웨어 기반의 기술이다. 다른 하나는 이번 사업에 적용된 PQC 기술로, 양자컴퓨터로도 풀 수 없는 수학적 난제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이다.
PQC는 물리적 제약 없이 기존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갖춰, 보다 빠르고 유연한 확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 사업에서 국산 장비 업체 우리넷과 함께 PTN(패킷 전송 네트워크) 암호전송장비를 공동 개발, PQC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암호화와 고성능 네트워크를 동시에 구현했다.
5년 연속 국책과제 1위로 기술력도 입증
SK브로드밴드는 이번 전용회선 구축을 통해 PQC 기술의 실효성을 입증함과 동시에, 실제 공기업에서 발생한 수요에 대응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장시훈 공공고객담당은 “이번 구축은 단순 실증이 아닌 실질적인 상용 수요가 발생한 사례”라며, 향후 금융, 의료, 국방 등 보안이 핵심인 산업군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SK브로드밴드는 SK텔레콤과 함께 2020년부터 5년 연속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양자암호 국책과제 1위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2022년에는 세계 최초로 800km 규모의 국가융합망 백본망에 QKD 기술을 적용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