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은 김대중 전라남도교육감이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지역 교육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수능 평가 및 분석자료 공개 방식 개선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1일 밝혔다.
김 교육감은 지난달 27일 충남 보령머드테마파크에서 열린 총회에서 경기도교육청이 제시한 미래 대학입시 개혁 방안을 적극 지지하면서도, 수능 평가와 분석자료 공개 방식을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청은 ▲ 지필평가 서술형 및 논술형 확대 ▲ AI 기반 채점 시스템 도입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5단계 절대평가 도입 ▲ 수시·정시 통합전형 및 대입전형 시기 조정 등을 제안하며 교육 본질 회복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육감은 이와 관련해 “이번 제안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공동으로 연구해 온 내용을 구체화한 것으로 매우 바람직하다”며, "수능 평가 및 분석자료 공개 방식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현재 교육 패러다임이 개인 맞춤형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나, 현행 수능 평가 방식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사고력 배양을 제한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객관식 중심의 평가와 수능 점수에 대한 과도한 경쟁이 학생 주도적 교육활동에 제약을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능 시험 후 1년이 지나서 발표되는 지역별 서열화는 농어촌 지역 학생과 학부모에게 불안감을 주며, 지역 인구 소멸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남의 경우, 90% 이상이 수시 전형으로 대학에 지원하고 있어 수능 점수를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이는 지역별 대입 전략 차이를 낳고 있다.
김 교육감은 "수능 성적에 의한 지역별 서열화 발표는 지역 인구 소멸을 촉진할 위험이 있다"며,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러한 방식을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대도시와 군 지역의 과목별 표준점수 차이를 분석하고, 고교학점제의 전면 시행에 따른 최소성취수준 미달 학생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