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최윤호 삼성SDI 배터리 사용 '해남 ESS 화재', 원인은 '배터리 이상?'

5월 1일 전북 익산시의 삼성SDI 제작 배터리 사용, 태양광 발전설비 ESS에서 화재발생

 

지이코노미 손성창 기자 |  삼성SDI 배터리를 사용해 만든 전남 해남의 2020~2021년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화재는 모두 배터리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전기안전공사가 2일 발표한 '3차 ESS 화재원인 조사' 결과 내용에 따른 것이다. 정부가 ESS 화재발생 후 1, 2차 조사를 통해 내놓은 대책에도 화재는 이어졌다. 

 

 

이에 2020~2021년 ESS 화재 4건의 3차 조사를 진행했다. 학계·연구기관·공공기관·협회 등의 전문가로 조사단을 구성한 것이다.

 

조사단은 화재 현장, 발화 배터리 분석, 자료조사, 실증실험 등의 조사를 거쳐, 2020년 5월 27일 전남 해남의 태양광 발전소 화재 원인을 고충전 배터리를 사용한 내부 이상으로 추정했다. 

 

 

화재현장의 ESS의 배터리는 삼성 SDI가 제작했다. 조사단은 이 배터리는 '옥외 90% 이하' 기준을 넘어 충전율은 95%였다고 밝혔다. 안전관리자가 화재가 나자 소화하려고 했지만 화재가 빠르게 퍼진 점을 근거로, 삼성SDI가 배터리 내에 설치한 소화설비의 신뢰성을 다양하게 검증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SDI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발표에 대해 배터리를 5% 초과해 충전한 것은 화재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주장했다. 배터리 내의 소화설비 신뢰성 지적은 "안전관리자의 추가 소화활동이 소화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명했다.

 

 

삼성SDI는 전남 해남 ESS 화재사고는 화재가 재연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명확한 원인규명이 안됐다는 입장이다. 조사단이 위험하다고 판단한 저전압 셀을 회수해 6개월간 진행한 화재재연 실증실험에서 참여했지만 최종 셀 기인에 의한 화재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모든 화재가 100% 재연될 수 있는 지 궁금증이 든다.    

 

조사단이 소화설비 다각적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권고는 강제 발화실험을 통해 소화시스템 정상 동작과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저전압 셀 발생은 황반·갈변 현상으로 저전압 셀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배터리 사용으로 인한 자연적 열화현상이기에 화재원인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셀 내부에서 구리 집전체 용융현상을 확인했다는 부분은 용융현상은 화재 시 발생한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삼성SDI는 기준 충전율을 5%씩이나 넘게 충전한 사실이 화재발생 위험을 높일 수는 있다는 입장이었다. 배터리 내의 소화설비 신뢰성을 안전관리자의 추가 소화활동으로 몰아부쳤다. 

 

만만한게 홍어라고 삼성SDI는 안전관리자의 정상적 소화활동을 ESS 화재 진압에 지장을 주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자사의 제품 결함인정보다 언발에 오줌누기 식으로 화재의 원인을 밝혀 눈살을 찌뿌리게 한다는 평이다. 

 

과연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이 100% 화재에 안전한지 완전한지 알아볼 방법은 일반인들에게는 없으며 알 수도 없다. 다만 일반 국민들은 친환경이나 탄소제로, 전기차용 고전압 배터리를 알게 돼, 삼성SDI가 제작한 전남 해남 ESS에서 발생한 화재에 관심이 높아졌다. 전기를 저장해 사용하는 장식이 전기차나 ESS나 원리가 같기 때문이다.

 


한편 2일 익산소방서에 따르면 1일 오후 2시 50분쯤 전북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의 한 태양광 발전설비, 삼성SDI가 제작한 배터리가 사용된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로 인명피해는 없었고, ESS실 약 60㎡를 태우는 등 소방서 추산 2억여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