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북도, '바다 쓰레기' 올해도 해(海)치우자

2023년 해양쓰레기 수거 전용 ‘도서지역 정화운반선’ 운항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경상북도는 올해 37억 원을 투입해 육지쓰레기의 해양 재유입을 방지하고 깨끗한 연안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방면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육지쓰레기의 바다 유입을 막기 위한 해양쓰레기 정화·수거 사업, 해안쓰레기를 상시 수거·처리하는바다환경지킴이 사업, 해양쓰레기 수거·보관 위한 집하장 설치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정화사업에 8억5000만원, 해양쓰레기 투기감시·수거를 위한 바다환경지킴이 사업에 19억5000만원 등 총 28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지난해보다 30%이상 예산을 늘여 잡았다

* 21년예산 21억 5천만원

 

매년 경북 동해안의 소규모 어항, 해수욕장 등 관광지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6000t 정도로 방파제, 갯바위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 많아 완전한 수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력투입과 수거량도 매년 늘어나 있어 예산도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이외에도 각종 쓰레기 수거사업을 통해 수거한 쓰레기의 적정보관과 소규모 항에서 발생되는 바다쓰레기의 적시 수거와 보관을 위해 해양쓰레기 집하장 설치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2020년부터 영덕 강구항, 축산항, 울릉 사동항에 소규모 집하장을 설치했고, 올해도 경주, 영덕, 울릉의 소규모 어항에 집하장을 설치할 계획으로 바다 쓰레기의 수거체계 확립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해양쓰레기 집하장 예산 역시 지난해 1억4000만원에서 올해 1억7000만원으로 증액해 계획했다.

 

또 총사업비 75억 원을 투입한 170t급 도서지역 정화 운반선은 2023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도서지역 정화운반선은 울릉도의 해양쓰레기를 수거·운반할 뿐만 아니라 포항-울진까지 연안지역의 적조예찰, 오염사고 대응, 해양쓰레기 수거 등 해양환경 관리를 위한 다목적 선박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은 발생량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발생된 이후 쓰레기가 미치는 영향의 범위와 대상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에 있다.

 

또 영향이 확산되거나 심화되기 전에 조기 수거해야 하는데 해양의 특성상 해양쓰레기의 위치 파악이 어렵다는 점도 문제의 심각성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음료수 페트병이나 수산 양식에 사용되는 부표는 해양에서 적기에 수거되지 않을 경우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 수거가 불가능해지고 바다환경에도 더욱 악영향을 미친다.

 

미세 플라스틱의 위해성 문제는 해양 생태를 넘어 식품 안전이나 사람의 건강성까지로 영향의 범위를 확산하고 있다.

 

이처럼 해양쓰레기는 복잡한 해안선과 유입경로가 다양해 국가나 지자체의 노력만으로 해결에 한계가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특정구간의 해변을 기업이나 민간단체에 지정하고 마치 반려동물처럼 아끼고 돌보도록 하는 반려해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역량 있는 지역 코디네이터를(NGO)를 선정하고, 코디네이터가 지역의 기업과 민간단체가 특정지역의 해변을 지정해 관리하고 가꾸게 하는 사업으로 2023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는 경북 동해안 연안에 시행 할 계획에 있다

* 반려해변 실시 광역지자체 : (‘21년) 인천·경남·충남·제주, (’22~‘23년) 지역 코디네이터 확보 추이, 참여자 수, 지역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매년 3~4곳 추가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쓰레기는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아 정부 주도의 사후수거 방식만으로는 제거에 한계가 있다”며, “기존의 해양쓰레기 관리 패러다임을 전환해 민간의 자율적인 참여와 역량이 발휘될 수 있는 새로운 해양쓰레기 관리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지역 주민의 많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