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소득 취약계층 일상 회복 돕고 돌봄서비스 공공성' 강화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는 2022년 2조 1,604억원을 투입해 어르신·장애인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일상 회복을 돕고, 돌봄서비스에 대한 공공성을 강화한다. ①新복지 패러다임을 통한 촘촘한 복지실현, ②사각지대 없는 안전한 복지기반 마련, ③노후 걱정 없는 100세 행복 도시 구현, ④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 지원 등 4대 추진 전략을 시행하여, 사회·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촘촘한 사회복지 안전망 구축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통합 돌봄을 실현코자 한다. ①취약계층의 기본생활 보장 확대로 촘촘한 보호 추진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폐지*(77,000가구) 및 기준중위소득 5.02% 인상(4인 가구 146만 2,887원 → 153만 6,324원)으로 기초수급자에 대한 소득보장을 강화 (대구형 기초생활보장) 정부제도의 지원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지원받지 못하는 저소득 취약가구에 대한 생계비 지원과 일시적 위기가구 돌봄 지원사업 확대 등으로 실제 생활이 어려우나 제도권 내 보호받지 못하는 저소득 취약가구에 대한 시비 지원의 대폭 증액(31.6%)을 통해 대구형 기초생활 보장체계 강화 (자활근로) 근로능력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에 대한 자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