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고흥군이 애플망고 농가에 직접 찾아가 생육 단계별 맞춤 기술지도를 강화한다. 따뜻한 해양성 기후 덕분에 아열대 과수 재배에 적합한 고흥은 이미 당도 높고 향기로운 애플망고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하지만 좋은 환경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유과기 때 적정한 과실 솎기와 과실비대기를 위한 세심한 관리가 품질 차이를 만든다. 이에 고흥군은 관내 10여 농가를 대상으로 개화기부터 과실비대기까지 농가별 생육 상태를 꼼꼼히 살피며 현장 맞춤형 기술지도를 집중 지원한다. 농가들이 초기 재배 과정에서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안정적인 수확과 소득 증대로 이어지도록 돕는 데 목표를 뒀다. 군 관계자는 “현장에서 직접 농가를 찾아 세밀한 기술지도를 이어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품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해 애플망고가 고흥의 대표 신소득 작목으로 자리잡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애플망고는 고흥군이 새로운 농업 활로를 찾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기후와 환경을 살리고, 기술로 경쟁력을 더하는 현장 지원이 농가 소득을 키우는 열쇠가 될 전망이다.
지이코노미 백계석 기자 |보성군은 신 소득 작목을 발굴해 농가 소득을 증진하고 소비자 기호와 시장 트렌드에 맞춰 지속 가능한 농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채로운 과수 작목 육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여름 대표 과일 중 하나인 포도는 기존 켐벨포도, 거봉과 더불어 최근 몇 년 사이에 유명해진 샤인머스켓과 가지포도로 알려진 블랙사파이어도 활발하게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보성군은 일조량이 풍부하고, 토지가 비옥해 과일의 당도가 높고, 특유의 향미가 살아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판매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현재 보성군 포도재배 농가는 29농가 6.5ha 규모이며, 틈새 소득 작목에 관심을 갖는 농가들이 많아지면서 재배 면적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성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지금까지는 포도 생산 기술 보급에 초점을 맞춰왔는데 앞으로는 서리, 고온 등 이상 기상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보급까지 복합·연계하여 고품질 포도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한편, 보성군은 포도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기후변화와 이상 기온에 대비하여 애플망고, 칸탈로프멜론, 체리, 바나나 등 신 소득 아열대작목을 도입 중이며, 소규모 면적에서도 고소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