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 강기정 시장이 여의도에서 대선공약 '세일즈'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16일, 강 시장은 ‘주간 여의도 집무실’을 개소하고, 각 정당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광주의 미래 성장 전략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행보를 시작했다. 이 자리는 단순한 정책 제시가 아니라, 광주를 발전시킬 핵심 사업을 촉진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각각 만남을 갖고, 광주시의 대선 공약인 ‘광주의 제안’을 전달했다. 이번 대선에서 광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핵심 프로젝트는 AI 모델시티, 미래모빌리티 신도시, 광주~대구 달빛철도 등이다. 강 시장은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각 정당의 대선 공약에 적극 반영되기를 촉구하며, 지역 현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광주시는 이미 8일, 제21대 대선 광주지역 공약 ‘광주의 제안’을 발표하면서 AI 모델시티-더 브레인 광주와 같은 혁신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프로젝트들을 제시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미래차 분야에서 광주의 입지를 강화하고, 서남권 메가시티와 같은 큰 그림을 그리며, 대선 후보들에게 광주가 추진하는 국가적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강기정 광주시장이 정치의 심장부 여의도에 광주의 미래를 걸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서울 대외협력본부에 매주 ‘주간 집무실’을 열고, 각 정당의 대선 캠프를 향해 광주의 핵심 과제를 직접 전달하겠다는 구상이다. 강 시장은 14일 기자간담회에서 “탄핵과 정치적 혼돈의 시간이 지나고, 이제는 차기 정부 국정과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시점”이라며 “광주가 10년을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골든타임을 대선이라는 국면에서 반드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여의도 집무실’ 구상은 현장성과 정치력을 겸비한 새로운 방식의 행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역에서만 머물며 중앙 정부의 결정만 기다리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직접 발로 뛰며 정치의 핵심 무대에서 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특히 강 시장은 “광주의 주요 현안들은 단발성 사업이 아니라 향후 정부 예산과 정책에 구조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각 당의 정책 라인, 대선 공약팀과의 협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제시한 핵심 의제는 ▲광주 군 공항 이전과 부지 활용 문제 ▲AI·디지털 산업 생태계 확장 ▲광주형 복지모델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