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완도군이 오는 5월 1일부터 모바일 완도사랑상품권(카드 포함) 구매 방식을 기존 선 할인에서 캐시백 적립으로 전환한다. 이번 조치는 행정안전부 방침에 따른 것으로, 모바일 상품권 구매 시 충전 단계에서 할인을 받는 기존 방식 대신, 가맹점 결제 시 사용 금액의 10%를 포인트로 적립받는 방식으로 바뀐다. 적립된 포인트는 완도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양도는 불가하다. 기존에는 50만 원권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 5만 원을 할인받아 45만 원에 충전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50만 원을 그대로 충전하고, 실제 결제할 때마다 사용 금액의 10%를 포인트로 돌려받게 된다. 지류형 완도사랑상품권은 이번 변경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현재와 동일하게 10% 할인 혜택과 월 최대 50만 원 구매 한도를 유지한다. 완도군은 모바일 상품권 선 할인 방식이 소비자의 구매 부담을 낮추는 장점이 있었지만, 일부 부정 유통 문제가 발생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캐시백 방식으로 전환되면 구매 후 빠른 소비를 유도하고 지역 내 소비 규모도 확대할 수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완도군이 농어민을 위한 공익수당 지급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인당 60만 원씩, 총 59억 원 규모의 공익수당이 완도사랑상품권으로 지급되며, 이번 지급은 농어업과 농어촌의 공익적 가치를 유지하고 농어업인의 생계 안정을 돕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완도군은 지난 1월 6일부터 2월 7일까지 공익수당 신청을 받았고, 자격 검증을 마친 후 '농어업인 공익수당 위원회' 심의를 통해 지급 대상자 9992명을 확정했다. 이들 농어업인은 각 읍면 사무소에서 수령증과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을 지참한 후, 주소지 근처의 금융기관에서 상품권을 수령할 수 있다. 상품권은 농협, 수협, 축협, 광주은행 등 다양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발행일로부터 5년 동안 유효하다. 이 공익수당은 단순히 농어민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넘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영농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차 신청 기간을 놓친 농어민들을 위해 오는 30일까지 2차 신청을 받고 있어, 이 기회를 놓친 농어민들도 추가 신청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차 접수는 각 읍면 사무소에서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