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 골프란? 파크(Park)+골프(Golf) 를 합친 말이다. 쉽게 말하면 잔디가 있는 공원에서 골프를 친다는 것이다. 골프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만큼 골프와 많은 공통점도 가지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미니 골프라고 부를 정도로 게이트볼, 그라운드볼 등 여타의 경기에 비해 골프와 가장 흡사하다. 9홀 코스에 33타 기준, 일반 골프와 다르게 홀과 홀 사이에 거리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파크 골프 vs 골프 vs 게이트 볼 vs 그라운드 골프의 경기 방법 게이트볼: 5명씩 2팀, 총 10명이 함께 플레이를 한다. 각 팀이 각자 빨간색과 흰색의 공으로 경기를 진행하며 각팀의 점수를 합해서 점수가 높은 팀이 승리한다. 경기장은 20미터 전후로 공을 철제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방식이라 땅을 팔 필요가 없다. 그라운드 골프: 철제 프레임으로 공을 통과시키는 방식의 경기로 잔디가 깔리지 않은 경기장에서도 가능하다. 공을 철제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보니 공을 넣을 구멍이 필요하지 않아 전용 구장이 아니라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다. 파크골프: 한 팀에 3~4명이 조를 이루어 경기를 진행하며, 기본 룰은 골프와 거의 흡사하다. 홀 안에 공을 넣어야 하는 방식으로 구장에 경
2024년 2월 1일 서울 학여울역 SETEC에서 열린 MBC 건축박람회를 찾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가운데서도 유난히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고 있는 부스가 있었다. 이동식 스크린골프 업체인 원박스골프였다. 통으로 트인 실내 집 모양에 실내 파크골프 스크린이 안쪽에 보이고, 오색 조명이 화려하게 반짝인다. 파크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크린골프장에도 파크골프가 등장했다. 스크린파크골프의 등장으로 멀리 가지 않아도 공원이나 잔디밭 구장에서 플레이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동식으로 제작된 원박스는 마당이 있는 펜션이나 전원 주택에는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며 사내 복지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형태이다. 최근 스크린 골프장의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면서 새로운 레저 문화로 각광 받고 있다. 스크린 파크골프는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예약 여부나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이다. 특히 레저로의 파크골프는 현실감 넘치는 그래픽과 어른들도 사용하기 쉽도록 시스템에 신경 쓰고 있다. 원박스 김용훈 대표는 대학에서 프로그래밍을 전공을 살려 첨단 기술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활용하여 스포츠 산업
지구촌에 ESG 열풍이 뜨겁다. 이미 오래전에 국제 사회가 인류 공존을 위해 ESG 깃발을 들었는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ESG는 80억 인류의 공존을 위한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언제부턴가 일반 상식이 된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다. 환경 부문은 흔히들 알고 있는 환경의 문제다.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 지방자치단체까지도 경영이나 행정을 집행할 때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꼼꼼하게 따지라고 요구한다. 사회 부문은 사회적 책임을 잘 수행하라고, 지배구조 부문은 경영의 투명성을 요구한다. ESG는 해를 거듭할수록 그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특히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천해야 될 세계적 평가 기준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ESG 실천을 미적거리는 기업이 많지만 해외 시장에 진출하려면 더 이상 꾸물거릴 수 없는 당면 과제다. 그래서인지 기업들이 글로벌 가치사슬(GVC)에서 낙오되지 않으려고 국제적인 추세에 발을 맞춰 ESG 실천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그런데 유의해야 될 대목이 있다. 국제 사회에서 ESG 실천을 인정받으려면 수출 기업뿐만 아니라 협
아무리 좋은 채라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그 사용 수명이 짧아질 수 밖에 없다. 항상 새것인 상태로 유지할 수는 없겠지만, 새것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최선의 관리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파크골프채는 헤드, 샤프트, 그립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자 다른 방법으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헤드 부분은 대부분 목재로 제작이 되었기 때문에 물에 취약하니 지저분해졌다고 물로 세척하는 방법은 절대 피해야 한다. 실제로 새벽이나 비 오는 날 라운딩 하여도 수분을 흡수했을 경우 뒤틀림이 생길 수 있으니 라운딩 후에는 반드시 마른 수건으로 수분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사용하는 수건은 극세사나 안경 닦는 수건처럼 부드러운 것을 사용해야 기스가 나지 않는다.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열로 수분을 증발 시키려다 보면 열에 의한 뒤틀림이 생길 수 있으니 반드시 자연 건조 시켜야 한다. 수분 제거가 되었다면 코팅을 위해 왁스로 도핑을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역시 수분형 왁스는 피해야 한다. 반고체, 고체 왁스를 극세사 등 부드러운 천에 조금 덜어내어 헤드면과 솔 부분에 발라준다. 이때 왁스의 양은 무조건 많이 바르는 것이 아니라 얇고 균일하게
최근 화천에서는 관리가 잘된 파크골프 구장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천 산천어 파크골프장은 2024시즌 오픈 전국 파크골프대회를 유치하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화천 산천어 파크골프장은 우리나라 파크골프장 중 최장 길이인 1,500m로 긴 거리를 가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재미를 체험할 수 있는 구장으로도 손꼽힌다.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신비한 분위기가 매력적인 북한강, 그 북한강을 넉넉하게 품은 화천 산천어 파크골프장에서는 400년 동안 한자리를 지켜온 거례리 사랑나무도 볼 수 있다. 오랫동안 화천을 지켜온 사랑 나무처럼 국민들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화천 산천어 파크골프장은 파크골프도 즐기며 시원한 강 경치를 볼 수 있는 힐링 공간이다. 특히 천연 잔디를 갖추어 품격 높은 구장을 완성하고 있다. 화천 산천어 파크골프장은 대부분의 코스가 9홀 기준 700M 정도가 되는 롱홀이 많으며 코스의 중간 중간 나무를 배치하는 설계로 코스의 난이도와 재미를 높이고 있다. 특히 습지장 등 주변 관리를 잘 해 놓고, 자연을 보존하면서도 다른 구장에 비해 강을 끼고 있는 시원한 뷰를 자랑하는 등 전체적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구장이다. 이런 화천 산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