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수로 만나는 세계명화] <화성능행도> (3) 7폭, 8폭 환어행렬도·한강주교환어도
혼을 담은 손으로 수놓는 혼자수 이용주 작가가 원작과 같은 사이즈로 작업한 세계 명화 작품 이야기를 전한다. 지난 3개월간 8폭의 병풍을 나눠서 소개했다. 7, 8폭을 소개하며 작품 제작 후기를 전한다. WRITER 이용주 화성능행도는 세계명화로 인정받을만한 우리의 보물로 8폭의 병풍 속에 7349명의 인물과 1400여필의 말이 등장해 인물 4800여명이 등장하는 중국의 고소번화도(姑蘇繁華圖)를 능가하는 작품이다. 앞선 2개 호에서 1폭 화성성묘전배도(華城聖廟展拜圖), 2폭 낙남헌방방도(洛南軒放榜圖, 3폭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4폭 낙남헌양로연도(洛南軒養老圖), 5폭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6폭 득중정어사도(得中亭御射圖)를 소개했고 이번 호에는 7폭 환어행렬도(還御行列圖)와 8폭 한강주교환어도(漢江舟橋還御圖)를 소개한다. 그야말로 궁중행사도의 ‘백미’ 정조 화성능행도 팔첩병 (보물제1430호)은 150 x 65cm 내외크기의 작품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의 순번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매겨진다. 작품은 정조가 화원들을 대거 동원해 그린 진한 채색으로 완성된 화려하고 장엄한 병풍 그림이다. 웅장한 기와지붕이 건물의 위엄을 과시했고, 궁중복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