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파티마병원(병원장 김선미 골룸바 수녀)은 1월 27일부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으로 지정받아 코로나19 확진자 재택치료에 참여한다. 정부의 재택치료 중심 의료대응체계 전환으로 재택치료자수가 많아지고, 최근 대구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으로 지정되어 대구의 재택치료 운영체계 중 5권역인 동구지역을 전담하게 되었다. 재택치료 건강관리서비스는 재택치료 결정 대상자를 확인하여 초기 건강상태를 문진하고 고위험군은 집중 모니터링 또는 의료기관으로 전원한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24시간 동안 이상징후 등을 모니터링 하여 1일 2회 진료지원시스템에 결과를 입력하게 되며, 이상징후 발견 시 화상통신을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상담 및 처방을 실시한다. 김선미 병원장은 "대구파티마병원은 동구지역을 대표하는 의료기관으로서 코로나19 방역과 확산방지에 직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지자체와 긴밀한 방역협조체계를 통해 코로나19로부터 건강하게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재택치료관리 의료기관으로서 역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가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확대한다. 기존 4개소(최대관리인원 1,300명)에서 의원급 2개소 포함 9개소를 추가 지정해 총 13개소(최대관리인원 3,000명)로 확대한다. 대구시는 일상적 의료대응체계 안착을 위한 재택치료 개선의 일환으로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재택치료 비중을 높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확대 지정한다. 입원요인이 있는 자,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에 있는 자, 소아·장애·70세 이상 등 돌봄이 필요하나 보호자와 공동격리가 불가능한 자 등을 제외한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는 재택치료가 기본이며, 1. 19.(수)부터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도 재택치료가 전면 허용됨에 따라 재택치료의 비중이 많이 높아질 것에 대비해 사전협의를 마친 의료기관 9개소가 추가로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으로 투입된다. 일일 확진자의 70% 정도가 재택치료로 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구시 의사회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지속적으로 동네밀착형 의원급 의료기관 등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김종한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대구시는 재택치료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확대되더라도 확진자의 건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