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설공단 나드리콜은 12월 16일(목)부터 새로운 관제시스템을 도입하고 휠체어 장애인 우선배차와 고객 편의성 개선으로 더 나은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나드리콜’은 현재 408대의 차량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 11월 기준 대구시설공단 나드리콜의 등록회원은 30,154명, 연간 이용건수는 125만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복지·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매년 20%이상 등록자수와 이용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10년 만에 교체되는 새로운 나드리콜 관제시스템은, 휠체어 이용고객 우선 배차 서비스 도입, 기존에는 특장차와 장애인콜택시를 구분 없이 배차하였으나 이번 서비스 개선으로 휠체어 이용고객이 특장차량에 우선 배차될 예정이다. 근거리 차량선택 및 배차 시스템 도입, 이는 차량과 고객의 지도상 직선거리가 아닌 실제 도로상의 이동거리를 계산하는 체계로 고객의 대기시간을 줄여 만족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고객배차 후 휴대폰 문자로 실시간 차량 이동위치와 도착시간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 중심의 편의 시스템도 도입한다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소방안전본부는 드론이 촬영한 재난현장 영상을 119상황실과 현장 지휘관이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드론 관제도 가능한 실시간 드론영상 관제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대구소방은 5G 이동통신망 기술을 기반으로 고성능 드론 4대, 드론 통합운영 프로그램, 드론 운용 차량으로 구성된 소방드론 영상 관제시스템에 3억 1천 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오는 12월 초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상전송 시스템에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조종기 화면을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119종합상황실로 전송하는 구조로 재난 영상을 현장 지휘관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드론이 촬영하는 다각화된 영상 정보를 119종합상황실뿐만 아니라 현장지휘관에게도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정확한 상황 판단과 신속하고 효율적인 현장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 드론 수색 시 범위 지정과 수색완료 구역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효과적인 작전 수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석진 대구소방안전본부 119종합상황실장은 “드론 영상 관제시스템 구축으로 입체적 상황분석이 가능해 진다”면서 “통합적 소방 활동으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