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들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선 공약 반영을 위한 힘찬 행보에 나섰다. 김영록 전남지사가 20일 국회를 찾아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정책본부장인 김성환 의원과 만나 전남의 미래 전략을 담은 현안 사업들을 대선 공약에 반드시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김 지사는 이번 방문에서 ‘솔라시도 AI 에너지 신도시’ 조성을 비롯해 나주의 ‘에너지 AI 모델시티’ 구축,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추진 등 전남 지역이 미래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더불어 ‘글로벌 해상풍력 생태계’ 조성,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 지구’ 개발, 우주발사체 특구 내 ‘제2우주센터’ 건립, 무안국제공항을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으로 육성하는 등 다방면에서 전남의 혁신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구상을 설명했다. 김영록 지사는 “전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이번 대선 공약에 이들 과제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며, 이후 새 정부 국정과제로도 추진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성환 의원은 “전남이 제안한 과제들은 지역 발전의 핵심 축이자 미래 성장의 기반”이라며 “정책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햇빛과 바람이 돈이 되는 세상이 올까? 영광군은 "이미 준비 중"이라고 말한다. 이제는 ‘태양을 보면 전기요금이 생각나는 시대’가 될지도 모르겠다. 영광군이 미래 비전으로 내세운 건 바로 ‘에너지 기본소득’. 쉽게 말해, 지역 주민이 햇빛과 바람에서 생산된 에너지의 혜택을 실질적으로 나누는 구조다. 말하자면 마을 단위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수익을 주민과 공유하는 방식이다. 영광군은 이를 국가 차원의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5월 1일 공식 선언했다. 이날 군청 소회의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사업 보고회’에서 영광군은 총 13개의 핵심 사업을 정리해 발표했다. 핵심 키워드는 ‘에너지’, 그리고 ‘기본소득’이었다. “우리는 에너지 부자가 될 자격이 있습니다.” 장세일 군수는 보고회 자리에서 단호하게 말했다. 영광군은 이미 풍부한 일사량과 해상풍력을 갖춘 자연 조건 덕분에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주목받는 지역이다. 이 가능성을 현실로 끌어내기 위한 카드가 바로 ‘에너지 기본소득 시범도시’ 구상이다. 보고회에서는 이 외에도 무탄소 에너지 국가산단 조성, 청정수소 클러스터 구축, 해상풍력 O&M 거점기지 조성, 스마트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 강기정 시장이 여의도에서 대선공약 '세일즈'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16일, 강 시장은 ‘주간 여의도 집무실’을 개소하고, 각 정당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광주의 미래 성장 전략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행보를 시작했다. 이 자리는 단순한 정책 제시가 아니라, 광주를 발전시킬 핵심 사업을 촉진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각각 만남을 갖고, 광주시의 대선 공약인 ‘광주의 제안’을 전달했다. 이번 대선에서 광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핵심 프로젝트는 AI 모델시티, 미래모빌리티 신도시, 광주~대구 달빛철도 등이다. 강 시장은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각 정당의 대선 공약에 적극 반영되기를 촉구하며, 지역 현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광주시는 이미 8일, 제21대 대선 광주지역 공약 ‘광주의 제안’을 발표하면서 AI 모델시티-더 브레인 광주와 같은 혁신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프로젝트들을 제시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미래차 분야에서 광주의 입지를 강화하고, 서남권 메가시티와 같은 큰 그림을 그리며, 대선 후보들에게 광주가 추진하는 국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