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는 지역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하는 등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한 대학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고자 정책자문단을 출범해 2.14 첫 회의를 개최한다. 대학협력사업 정책자문단은 총괄 및 사업별 자문단으로 구성되고, 기존 인재도시만들기 참여위원과 교수,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의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이번 첫 회의에서는 ▶정책자문단 역할과 운영방식, ▶지역대학 육성 정책포럼 개최, ▶대구경북지역학 확산, ▶대구와 광주 간 달빛지역학 추진방안, ▶대학연계 입학정보박람회 개최 등 대구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학협력 사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제언도 있을 예정이다. 또한, 지방소멸 및 지역대학 위기극복을 위한 대구형 대학협력 대표사업 발굴과 정책화에 참여하고, 2023년 3월 개관 예정인 전국 최초의 대학(생) 지원센터인 (가칭)대구글로벌플라자를 지역-대학의 연계·협력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 등도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금 우리나라는 수도권 비수도권 간의 양극화로 지역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해있으며 이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 마련이 절실한 시기”라고 밝
지이코노미 백계석 기자 | 학령인구 감소 및 대학 신입생 정원 미달 등 지역대학의 위기가 코앞까지 다가왔다. 순천시는 대학의 존폐위기를 대학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의 위기라는 생각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지방대학 소멸위기 대응하기 위해 상생협력 협의체를 구성하여 그 첫걸음을 내딛었다. 순천시는 7월 30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지역과 대학의 상생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순천시, 순천시의회, 순천시 소재 3개 대학교와 순천시교육지원청, 순천상공회의소가 한자리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 각 기관은 대학협력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앞으로 지역과 대학이 연계해 볼 만한 사업들을 제안했다. 순천시-대학 상생협력 협의체는 지역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각종 현안에 대해 각 대학별 특성에 맞는 경쟁력 제고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직업교육체제 도입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순천시장은 “대학과 지역은 연대의식을 갖고 지역 우수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지역인재를 대학에서 양성하고 우리 지역에서 취업하고 정주할 수 있도록 선순환구조를 구축해나가겠다.”며 “지역 대학을 혁신하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