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민원 서비스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본청과 교육지원청 민원 담당자 90여 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충 민원 처리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하며, AI 기술을 민원 응대에 적극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번 교육은 업무 처리에 그치지 않고, 민원인과의 소통에 공감을 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CTS IT 아카데미의 유정수 강사는 쉽고 효과적인 문장 작성법과 법령 확인 방법을 제시해, 민원인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노하우를 공유했다. 교육에 참여한 민원실 이현실 주무관은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표현을 참고해 상황에 맞게 부드럽고 공감하는 문장을 쓸 수 있게 됐다”며 “응대 시간이 줄면서 민원인의 반응도 긍정적으로 바뀌는 걸 체감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AI가 문장 작성과 정보 확인에 도움을 주면서 민원 처리 과정이 훨씬 효율적이고 정확해졌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이정선 교육감은 “민원인을 단순한 업무 대상이 아닌 공감의 주체로 대하는 문화가 자리잡아야 한다”며 “생성형 AI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공직자의 소통 역량을 높이고, 시민 중심의 따뜻한 행정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은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광주광역시교육청 AI·SW 체험축전’에 학생과 학부모, 교원을 포함해 3만여 명이 참여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미래를 여는 Code, AI’를 주제로 열린 이번 축전은 AI·SW 교육 체험마당, AI·SW 골든벨, AI·SW 특강, 학생 사례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AI 자율주행차, 코딩 드론, 햄스터봇, 생성형 AI 기반 미술 활동, IoT 스마트홈 등 실생활과 밀접한 AI·SW 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특히 103개의 체험 부스가 운영되었으며, 광주지역 초·중·고 72개 학교와 대학, 기업, 유관기관 31곳이 참여해 현장을 가득 메웠다. 학생 200여 명이 출전한 AI·SW 골든벨과 UNIST 박새롬 교수의 ‘AI가 내 정보를 보호할 수 있을까?’ 특강, 각급 학교 5팀씩 참여한 사례발표도 큰 호응을 얻었다.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직접 개발한 ‘QR코드 입장등록 시스템’을 행사에 적용해 관람객 출입 편의성을 높였으며, 참가 학생들은 AI와 SW에 대한 흥미를 더욱 키웠다. 송정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인공지능(AI) 중심도시로서 행정 전반에 생성형 AI 도입을 적극 추진하며 행정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실시한 전 직원 대상 ‘생성형 AI 활용 현황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7%가 이미 업무에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3월 27일부터 4월 4일까지 광주시 공무원 247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공공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생성형 AI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조사 결과, 생성형 AI 활용자 중 63.5%는 무료 서비스를, 28.5%는 광주시가 지원하는 계정을, 8%는 개인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활용 서비스는 ‘챗GPT’로, 응답자의 94%가 이용 중이며, 보고서 작성(70.8%)에 가장 많이 활용됐다. 데이터 분석(9.6%)과 디자인(1.1%) 활용도 뒤를 이었다. 반면, 아직 AI를 사용하지 않는 직원들은 ‘사용 경험 부족’(64.7%)과 ‘필요성 미인식’(31.9%)을 이유로 꼽았다. 광주시는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상·하반기에 실습 중심 교육과 전문가 특강을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