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포스코그룹의 장인화 회장이 최근 호주에서의 일정을 통해 보여준 경영 활동은 단순한 해외 출장이 아닌, 글로벌 철강업계와 에너지 분야에서의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걸음이었다. 이번 방문은 포스코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분명히 나타냈다. 장 회장이 세계철강협회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언급한 ‘저탄소 철강 생산 공정 개발’은 환경적 요구와 경제적 현실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적 접근을 보여주었다. 특히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점은 철강업계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예고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장 회장은 철강업계를 넘어, 포스코의 에너지 사업도 면밀히 점검했다. 세넥스에너지의 가스전 현장을 방문한 것은 현장 점검을 넘어서, 포스코가 에너지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위한 신속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증거다. 이는 포스코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에너지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로 볼 수 있다. 4년 연속 지속가능성 최우수 멤버로 선정된 포스코는 이번 호주 방문을 통해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확신을 보여줬다. 철강업계에서의 ESG 리더로서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한 포스코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긴급 물품, 최대 60일 걸리던 운송을 단 7일로 줄입니다.” 포스코그룹이 선한 물류의 속도를 다시 한 번 끌어올렸다. 포스코의 종합물류회사 포스코플로우(사장 반돈호)가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회장 조명환)과 글로벌 구호품 운송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3년 튀르키예 지진을 계기로 시작된 협력은 올해로 3년째.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위기 지역의 생필품과 식량 등 구호물자를 보다 빠르게, 더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글로벌 구호망을 재정비했다. 핵심은 두바이 IHC(International Humanitarian City) 물류창고다. 유엔 산하 기구, 국제 NGO, 각국 정부 기관들이 협력하는 이 창고는 전 세계 재난 대응의 허브 역할을 한다. 포스코플로우는 이 거점을 활용해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필요로 하는 구호물품을 7일 이내에 현장까지 운송할 계획이다. 현재 홍해 사태와 글로벌 공급망 경색으로 전 세계 물류는 다시 흔들리고 있다. 그럼에도 포스코플로우는 ‘지금이야말로 민간 물류기업의 공공적 책임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보고, 미얀마·캄보디아·잠비아 등 극빈 지역을 중심으로 해상과 내륙을 잇는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