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한낮 기온이 섭씨 35도를 훌쩍 넘을 때는 라운드를 할 때 주의해야 한다.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컨디션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6월말 경기도 00골프장에서 김모(58세) 씨가 라운드 전반 마지막 홀 그린에서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 며칠 후 숨졌다. 동반자 이모(55세) 씨에 따르면 9번 홀 그린에서 퍼팅을 준비하다 갑자기 쓰러졌다고 한다. 이날 여주 이천지역의 낮 최고기온은 섭씨 35℃를 기록하는 등 무더운 날씨였다. 김 씨는 평소 심장이 좋지 않은데다 새벽 잠을 설친 피곤한 상태에서 폭염으로 땀을 많이 흘린 후 체력 저하를 이기지 못해 변을 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삼복(三伏)기간에는 ‘입술에 묻은 밥알도 무겁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더위를 이겨 내기가 힘든다. 그러나 전국 골프장엔 삼복 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로 북적댄다. 미국 LPGA 투어 상위권엔 우리나라 여자선수들이 많다. 왜 한국 선수들이 많은지 취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미국 기자들이 폭염(섭씨 35℃ 습도 85%) 속에 뛰어다니는 우리나라 주말 골퍼들을 보고 문화적인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스페인 사람들은 한낮이면 시에스타(낮
[골프가이드 김백상 기자] 골프가이드는 지난 6월호부터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휴 재활의학과 전문의 김준래 원장의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 김 원장은 수년간 치료 현장에서 골프 뿐만아니라 그 외 스포츠 분야에서 부상 당한 많은 선수들을 치료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과 에피소드를 갖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그의 경험을 토대로 스포츠 의학 칼럼을 연재 중이다. 골퍼들에게 흔히 생기는 무릎 통증,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올해 봄에 전지훈련을 다녀온 K 프로 선수가 병원으로 찾아왔다. “원장님. 올해에는 좀 잘 해보고 싶어서 최근 몇 시즌 동안 가지 않던 전지훈련을 태국으로 다녀왔습니다. 거기서 근력 운동도 많이 하고 연습도 많이 해서 비 거리도 좀 늘고 샷에 대한 감도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무릎에 통증이 생겨서 라운드 도중에 멈춰 서게 되고 샷을 할 때 통증 때문에 지장이 생깁니다. 혹시 무릎 관절에 무슨 문제가 생긴 걸까요?” 진찰을 하고 자세한 검사를 해보니 다행히 무릎 관절이나 연골에는 큰 이상은 없었지만 무릎 관절 주위, 특히 무릎 위쪽의 허벅지 앞쪽 근육이 심하게 경직돼 무릎을 구부리는데 지장을 줄 정도였다. 이런 경직으로 무
[골프가이드 김백상 기자] 골프가이드는 6월호부터 휴 재활의학과 전문의 김준래 원장의 칼럼을 게재한다. 김 원장은 수년간 치료 현장에서 골프 뿐만아니라 그 외 스포츠 분야에서 부상 당한 많은 선수들을 치료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과 에피소드를 갖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그의 경험을 토대로 스포츠 의학 칼럼을 연재 할 예정이다. 허리디스크, 알면 골프를 더 잘 칠 수 있다 5월은 빚을 내서라도 골프를 친다는 얘기가 있다. 잔디가 파랗게 올라오는 시기가 5월인 만큼 잔디를 밟을때 기분도 상쾌해지고 스트레스가 풀리는, 말 그대로 힐링의 시간이 된다. 그러나 이렇게 즐거운 골프도 몸에 통증이 생기면 즐거울 수가 없다. 몸도 아프고 공도 안맞고 스코어도 안나오고...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게 될 수도 있다. 필자는 근골격계 재활을 하다보니 골프 선수들을 많이 만나고 그들이야 말로 여러 통증에 노출돼 많이 고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선수들의 부상과 그로인한 통증은 아마추어들 보다 심할 때가 많다. 그래서 더욱 힘들고 괴로워 한다. 올해 초부터 병원에 오게 된 L 프로 골퍼가 있다. “저는 우측 허리의 요방형근이 아프고, 아프다보니 몸이 기울어지고 장요근쪽도
[골프가이드 김백상 기자] 골프가이드에서는 인문명리학자 혜명 류동학 원장의 '골프 칼럼'을 연재 중이다. 남ㆍ녀 골프 선수들의 과거와 미래를 인문학과 명리학의 관점으로 해석해 독자들에게 흥미있는 읽을 거리를 제공한다. 첫 주인공은 2017년 KPGA 코리안투어 개막전 우승자 맹동섭 선수다. 2018 KPGA 코리안투어 개막전 '제 14회 DB 손해보험 프로미 오픈'에 참가한 디펜딩 챔피언 맹동섭 (사진 = 조도현 기자)혜명 류동학의 골프인물열전 맹동섭 사주명조(양력 1987년 4월 12일 오후3시 15분) 시주 일주 월주 년주 ⑧시간 을목(乙木, 편재) ①일간 신금(辛金) ⑦월간 갑목(甲木, 정재) ⑥년간 정화(丁火,편관) 천간 ④시지 미토(未土, 편인) ③일지 묘목(卯木, 편재) ②월지 진토(辰土, 정인) ⑤년지 묘목(卯木,편재) 지
[골프가이드 김대진 편집국장] 본명 엘드릭 톤트 우즈(Eldrick Tont Woods), 별명 타이거(Tiger). 1975년 12월 30일생이니 올해 43세, 만으로 42세다. 미국 캘리포니아 사이프레스(Cypress)에서 태어났다. x타이거 우즈아버지는 얼 우즈(Earl Woods, 1932~2006), 어머니는 쿨티다(Kultida, 1944~)다. 그에겐 배다른 두 형과 누나가 있다. 그의 이름 엘드릭(Eldrick)은 어머니가 지었다. 아버지 얼(Earl )에서 ‘E’, 어머니 쿨티다(Kultida)에서 ‘K’를 각각 따와 앞뒤로 조합해서 지었다고 한다. 톤트(Tont)는 태국 전통적인 이름이다. 별명 타이거(Tiger)는 그린베레였던 그의 아버지가 베트남전 파병 시절 만났던 베트남 중령 ‘푼 당 퐁’의 이름을 기려서 지었다. 퐁은 얼 우즈의 파트너였고 얼의 목숨을 구해준 생명의 은인이기도 했다. 전쟁터에서 맺은 두 사람의 우정은 각별했다. 퐁은 뛰어난 군인이었고 얼은 그의 호랑이 같은 모습을 보고 그를 ‘타이거(Tiger)’라 불렀다. 타이거 우즈는 그렇게 탄생
[ 데스크칼럼 ] (김해림 선수) 유명 골프선수의 아버지라면 언행을 조심해야 한다. 김해림(28·롯데). 웬만한 골퍼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로 최근 주가를 올리고 있는 KLPGA(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정규투어 프로다. 골프 실력도 뛰어나지만 선행(善行)으로도 널리 알려진 선수다. 오죽하면 그의 별명이 ‘기부천사’이겠는가. 그런 김해림이 최근 곤혹을 치르고 있다. 아버지의 갑질(?) 때문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딸의 소속사 매니저에게 고성과 폭력을 행사해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문제가 되자 김해림이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파문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김해림이 7월 16일 끝난 일본 JLPGA(일본여자프로골프협회) 투어 ‘사만사 타바사 레이디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는 기사에는 그녀의 아버지 갑질을 비난하는 댓글이 수도 없이 올라왔다. 일부 댓글은 그녀의 아버지 뿐만 아니라 김해림까지 싸잡아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참 무섭다. 여론이란게 그렇다. 아무리 골프 실력이 좋고 선행을 많이 해도 한번 잘못한 일이 있으면 쉽게 용서하지 않는다. 골프팬은 냉정하다. 그래서 선수는 물론이고 선수 가족들도 언
[골프가이드 박기훈 기자 ryutell@naver.com] 동촌GC가 지난해 12월 30일 뉴국제호텔에서 열린 ‘2013 골프칼럼니스트 대상 시상식’에서 골프칼럼니스트협회로부터 사회공언 기여도를 높게 평가받아 모범골프장 대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동촌GC는 개장 원년부터 재능기부의 한 방식으로 ‘자선 릴레이 라운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금된 자선기금은 사랑의 휠체어 보내기, 한국피해자지원협회, 컴패션 등 자선단체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완희 동촌GC 총지배인은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이라며 “2014년도에도 더 많은 분들이 자선라운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와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소셜미디어마케팅의 이해와 현재. "전문가 칼럼" (구창환,인맥경영 연구원 원장) 스마트폰의 확산은 소셜미디어가 급성장하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자료제공=한국골프장 경영협회) 불과 몆년사이에 스마트폰이 대량 보급되면서 우리는 어디에서나 스마트족들을 쉽게 만날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이메일과 문서를 확인하고, 버스와 지하철 안에서도 상품을 구매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날씨정보는 물론이고 주변의 건물만 스마트폰 화면에 비춰도 주변 지도가 펼쳐진다. 스마트폰이 등장은 과거 우리가 상상도 못할 일들이 지금 우리의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다. 요즘 카페, 백화점, 편의점, 심지어 지하철까지 어느 곳에 가서도 와이파이를 찾는 일이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동통신사의 와이파이존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무선 랜 이용 지역을 확대하고 와이브로 서비스 제공지역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러한 생활 속의 무선 인터넷존 구축은 국내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에서 스마트폰은 2012년 7월 기준으로 3,500만대가 팔렸다고 한다. 2009년에 시작된 스마트폰 열풍은 하나의 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천리안, 하이텔 등 PC통신을